대한민국 여성해방과 어린이존중사상이 동학에서부터 비롯되었으며, 그 뿌리는 조선사회 내내 성장하고 성숙하고 성취되어 온 아래로부터의 근대화 동력과 계몽군주로부터(위로부터)의 근대화동력이 발화된 결과라는 점, 우리 사회가 한때의 시행착오에도 불구하고 전근대의 어둠을 뚫고 자생적인 근대화의 길을 밝혀 왔음을 밝히고 있다.
목차
들머리
1장 서론 : 조선의 근대를 만든 '무명'의 사람들을 찾아서 1. 근대의 여정: '민국(民國)'의 사람들 2. 근대의 경계(境界): 여성해방과 어린이 존중
2장 조선의 근대를 들여다보는 방법 1. 서구가 만들어 낸 근대와 조선의 민본(民本) 2. 있는 그대로의 삶의 역사: 공감해석학적 접근과 일상사적 접근
3장 ‘유동하는’ 조선 사회 : 신분제의 와해와 평등사회에 대한 갈망 1. 전쟁의 여파와 사회 변화: 국가 불신과 새 세상에 대한 갈망 2. 민국 이념의 확산: ‘왕과 사대부의 나라’에서 ‘백성의 나라’로 3. 민(民)의 저항과 새로운 주체의 성장 : 민압의 시대에서 민란의 시대로
4장 조선시대의 여성: ‘어둠’에서 ‘빛’으로 1. 동아시아의 여성관과 모정주의 2. 성리학적 질서와 조선시대 여성 : ‘성리학의 구렁’에 빠진 여성들 3. 성리학적 질서에 맞선 조선의 여성들 4. 조선 후기 여성해방의 흐름과 동학사상 5. 서양의 여성관과 여성의 지위 6. 근대화 과정에서의 동서양의 여성문제 비교 연구
5장 조선시대의 어린이 : 인내천의 천사 1. 조선사회의 어린이 2. 조선사회의 어린이교육 3. 고종의 교육개혁 4. 방정환의 교육사상과 어린이: 인내천의 천사 5. 서양의 아동문제 6. 조선사회의 어린이와 근대: 동학과 소파 방정환
6장 마치며: 근대의 경계를 넘은 사람들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단어로 읽는 5분 한국사 : '짜장면' '막걸리' '도깨비' 등으로 새롭게 역사를 읽는 시간!2018 / 지음: 김영훈 / 글담출판
역사를 훔친 첩자2006 / 지음: 김영수 / 김영사
백정, 나는 이렇게 본다2019 / 글: 김용심 / 보리
세상에서 가장 짧은 한국사 : 읽는 것만으로 역사의 흐름이 머릿속에 들어온다 2022 / 지음: 김재원 / 빅피시
세상에서 가장 짧은 한국사 : 읽는 것만으로 역사의 흐름이 머릿속에 들어온다 2024 / 지음: 김재원 / 빅피시
찌라시 한국사 : 아는 역사도 다시 보는 한국사 반전 야사2018 / 지음: 김재완 / 쌤앤파커스
꼬리에 꼬리를 무는 토지 제도 이야기: 고조선에서 현대까지, 교과서도 알려 주지 않는 '땅'으로 본 한국사 익스프레스!2023 / 지음: 김정진 / 주니어태학
근대의 경계를 넘은 사람들 : 조선 후기, 여성해방과 어린이 존중의 근대화 이야기2018 / 지음: 김종욱 / 모시는사람들
패권 쟁탈의 한국사 : 한민족의 역사를 움직인 여섯 가지 쟁점들2016 / 지음: 김종성 / 을유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