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라는 주제에는 매우 다양한 측면이 있고, 이야기할 수 있는 논점도 많다. 여기, 국제관계에서 사람과 사람의 관계까지, 전쟁터에서 일상생활까지, 법률.제도론에서 시민사회 활동까지, 평화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며 우리의 시야를 넓혀주는 평화학 입문서가 출간되었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머리말
| 첫 번째 이야기 | 끊임없는 무력분쟁─‘새로운 전쟁’의 시대에 1. 밥 딜런과 에라스무스─변함없는 소원 2. 냉전 시대를 돌아보며 3. ‘새로운 전쟁’ 4. 평화의 역설
| 두 번째 이야기 | 미완의 이상─유엔에 의한 평화 1. 평화를 위한 국제기구 2. 집단안전보장 3. 평화유지활동 4. 사무총장의 역할 5. 유엔 안보 체제의 미완성─과제는 무엇인가
| 세 번째 이야기 | 평화를 위한 법─국제인도법과 국제형사재판 1. 무력분쟁의 규칙 2. 뉘른베르크와 도쿄의 유산 3. 제노사이드의 최전선─인도법 재판의 공방 4. 벨기에 인도법 5. 국제형사재판소
| 네 번째 이야기 | 평화를 재정의하다─인간을 위한 평화 1. ‘평화를 원한다면 전쟁에 대비하라’ 2. 전쟁이 일어나지 않으면 평화인가─구조적 폭력론 3. 인간 안보 4. 평화와 인권
| 다섯 번째 이야기 | 인도적 개입─정의로운 무력행사는 존재하는가 1. 인권과 인도의 시대에 2. 죄책감과 공습 지지 3. 소강상태 시기에 생각한다 4. 시민적 개입
| 여섯 번째 이야기 | 평화, 인권, 시민들─시민 사회의 세계화 1. 평화를 위한 행동 주체들 2. 다양한 박해와 인권 NGO 3. NGO들이 있는 세계
| 일곱 번째 이야기 | 핵과 섬멸의 사상─인간의 망각에 따른 평화 파괴 1. 전략 폭격과 히로시마, 나가사키 2. 핵의 시대 3. 핵무기는 사용해도 되는가
| 여덟 번째 이야기 | 절망에서 화해로─타인을 가두어서는 안 된다 1. 잇따른 비극 2. 절망하는 사람들 3. 절망하지 않는 사람들 4. 에드워드 사이드와 다니엘 바렌보임 5. 다양한 분리 장벽 6. 세계를 향해 활짝 열린……
| 아홉 번째 이야기 | 이웃과의 평화─자신을 가두어서는 안 된다 1. 적의의 울타리를 넘어서 2. 일본과 독일 3. 동아시아 공동체 4. 마치며─청년들을 위해 희망을 말하다
맺음말 옮긴이의 말 더 읽을거리
서가브라우징
다시, 사람이다 : 인권, 그리고 민주주의에 대한 가장 뜨거운 이야기2014 / 고상만 지음 / 책담
다시, 사람이다 : 인권, 그리고 민주주의에 대한 가장 뜨거운 이야기2014 / 고상만 지음 / 책담
(청소년을 위한)인권 에세이 : 구정화 교수가 들려주는 살아 있는 인권 이야기2015 / 구정화 지음 / 해냄
권리를 가질 권리 : 어디에도 속하지 못한 사람들을 위해2018 / 외 지음: 스테파니 데구이어 ; 옮김: 김승진 / 위즈덤하우스
불편해도 괜찮아 : 영화보다 재미있는 인권 이야기2012 / 김두식 지음 / 창비
미처 하지 못한 말 : 이제 마주하는 인권의 문장들2017 / 지음: 류은숙 / 낮은산
심야인권식당 : 인권으로 지은 밥, 연대로 빚은 술을 나누다2016 / 지음: 류은숙 / 따비
처음 하는 평화 공부 : 인권과 인도에 관한 아홉 가지 이야기2019 / 지음: 모가미 도시키 ; 옮김: 김소라 / 궁리
인권과 소수자 이야기 : 우리가 되지 못하는 사람들2007 / 지음: 박경태 ; 그림: 이영규 / 책세상
불편한 인권 : 사상으로 읽는 인권의 역사2018 / 지음: 박홍규 / 푸른들녘
아무도 내게 꿈을 묻지 않았다 : 선감학원 피해생존자 구술 기록집2019 / 외 글: 하금철 / 오월의봄
인문학이 인권에 답하다2015 / 박경서 [외]글 / 철수와영희
(차별의 역사 속에서 발전한) 법과 인권 이야기2014 / 임지봉 지음 ; 신동민 그림 / 책세상
(차별의 역사 속에서 발전한) 법과 인권 이야기2014 / 임지봉 지음 ; 신동민 그림 / 책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