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일러두기
제1부_ 아사녀
진달래 산천
풍경
눈 날리는 날
그 가을
빛나는 눈동자
정본 문화사대계(正本 文化史大系)
산사(山死)
이곳은
산에 언덕에
내 고향은 아니었었네
아사녀(阿斯女)의 울리는 축고(祝鼓)
꽃대가리
미쳤던
아니오
나의 나
완충지대
힘이 있거든 그리로 가세요
이야기하는 쟁기꾼의 대지
이야기하는 쟁깃꾼의 대지(투고분)
제2부_ 금강
금강
제3부_ 신동엽전집(1975)
새로 열리는 땅
향(香)아
싱싱한 동자(瞳子)를 위하여
아사녀(阿斯女)
별밭에
너는 모르리라
주린 땅의 지도(指導)원리
기계(機械)야
진이(眞伊)의 체온
응
삼월
초가을
발
사월은 갈아엎는 달
산에도 분수(噴水)를
담배연기처럼
껍데기는 가라
창가에서
종로5가
봄은
수운(水雲)이 말하기를
술을 많이 마시고 잔 어젯밤은
보리밭
여름 이야기
그 사람에게
고향
여름 고개
산문시(散文詩) 1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조국
영(影)
서울
좋은 언어
마려운 사람들
봄의 소식
너에게
강
살덩이
만지(蠻地)의 음악
단풍아 산천
권투선수
노래하고 있었다
밤은 길지라도 우리 내일은 이길 것이다
새해 새 아침은
왜 쏘아
어느 해의 유언
불바다
둥구나무
오월의 눈동자
여자의 삶
제4부_ 꽃같이 그대 쓰러진
서서(序詩)
이리 와보세요
그의 행복을 기도 드리는
교실에서
숱 많은 여인의 가슴처럼
사람의 고정(苦情)을
사랑
애정(哀情)
난곡(亂曲)의 서장(序章)
소녀의 앙탈
기원(祈願)
소박한 꽃
너의 무덤에서
슬픈 승리
눈동자
병이 되기 전에
한 마음
하일연서(夏日戀書)
가로수
세모(歲募) 이야기
바치는 노래
어느 소녀의 수기(手記)
해후(邂逅)의 소녀에게
압록강 이남
붉은 태양
함박눈 쏟아지는 날
만약 내가 죽게 된다면
검은 눈동자
벌로 나가자
수랑 구석
말 없는 너
초(草)집
빛나는 하늘에 봄은 다시 춤추고
실연곡(失戀曲)
헛소리
고독
내 가슴속에서 핏덩이가 미치는 것은
유한족(有閑族)
최신식 시인군(詩人群)
시론
말의 사기사님네께
당신 같은 사람에게
손
주막집에서
까닭 없는 허망
십이월에
망령
밤의 기도
사지(死地)
화살
추운 아침 병석에서
산보로(散步路)
불치병 환견(患犬)
세기말의 독백
잘난 놈과 미친놈의 대화
찬가
등타령
총각타령
항도에서
가을
들국화
서귀포
제야삼상(祭夜三像)
얼마나 반가웠으면
십이행시
악곡(樂曲)을 위하여
달밤 풍속
가뭄비
시골 밤의 서정
가을 애상곡
체온
조락(調落)된 콩밭
계향(季香)
창포
눈의 서정
백마강변(白馬江邊)
전설 같은 풍속으로 돌아가자
하늘에 흰 구름을 보고서
산 고개 사는 길에
오막살이집
설야(雪夜)
빛나는 강 언덕에서
회향(回鄕)
불치마
헌사(獻辭)
제5부_ 미간 시편
혁명아(兒)
이 땅의 이날
추상(追想)
탈피(脫皮)의 강반(江畔)에서
F부인의 증언
바른쪽 가슴에 광목 조각을
정(情)
육(肉)의 행렬
첫눈
예외 또는 말세
이름도 모르는 소녀에게
연보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