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경인한국학연구총서. 저자는 조선전기를 전환기로 이해하는 가설 위에서 상당한 시간을 연구에 투자하였다. 그러나 조선전기의 전체상을 설명하는 것은 많은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전5권에 걸쳐서 조선초기 생산력의 향상에 따른 생산관계의 변화가 경제, 신분, 정치의 각 영역에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검토하였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전환기에 서서
제1부 特權身分의 형성
제1장 特權 官品의 정비과정
머리말
1. 嘉善大夫의 지위 형성
2. 通政大夫의 지위와 그 변화
맺음말
제2장 顯官과 士族 신분
머리말
1. 門蔭과 顯官
2. 顯官의 신분
3. 顯官과 士族
맺음말
제3장 王室 親族의 신분적 성격 - 관직 진출을 중심으로 -
머리말
1. ‘宗親不任以事’론에 대한 검토
2. 敦寧府의 설치와 왕실 친족의 관직 진출
3. 왕실 친족의 관직 진출 확대
4. 왕실 친족의 법적 범위와 그 의미
맺음말
제4장 法的 親族의 기능과 그 범위
머리말
1. 法的 親族의 기능
2. 法的 親族의 범위
맺음말
제2부 特權身分과 정치 경제
제5장 提調制의 시행과정
머리말
1. 提調制의 형성
2. 提調制의 확대와 정비
3. 提調制의 기능변화
맺음말
제6장 관원체계와 科田의 운영
머리말
1. 고려 말 科田法과 관원체계
2. 3품 이하 관원의 科田 운영
3. 2품 대신의 科田 운영
맺음말
제7장 세조대 直田制의 시행
머리말
1. 直田制 시행의 내용
2. 修身田과 恤養田의 운영과 직전
3. 致仕制의 운영과 직전
맺음말
제8장 조선전기 特權身分과 身分構造
머리말
1. 特權身分의 형성
2. 特權身分과 정치 경제
3. 上級良人
4. 狹義良人
5. 廣義良人
6. 賤人
맺음말
補論
제9장 16세기 士林派의 身分制 인식
머리말
1. 성종대 戊午士林의 補充隊 문제 제기
2. 조선 중기 己卯士林의 補充隊 개혁의 추진
3. 중종 말기 補充隊 논의의 재개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