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관점에서 본 교직의 미래. 우리 교육을 기반으로 프레이리의 페다고지를 새롭게 썼다. '교육은 교육방법론의 실천이다', '침묵문화는 사회역사적 실재이다', '침묵문화의 생성 메커니즘', '저항과 희망의 문제제기 교육', '사회적 앎을 구성하는 대화교육' 등의 글이 수록되어 있다.
목차
책을 내면서|다양한 관점에서 본 교직의 미래
1. 교육은 교육방법론의 실천이다 / 김민남 2. 침묵문화는 사회역사적 실재이다 / 손종현 3. 침묵문화의 생성 메커니즘 / 손종현 4. 저항과 희망의 문제제기 교육 / 이훈도 5. 사회적 앎을 구성하는 대화교육 / 조세형 6. 교육은 정치다 / 김부태 7. 배움과 가르침의 변증법 / 이경숙 8. 문화서클: 새로운 형태의 교육 실천 / 조정봉 9. 문해교육은 자유의 실천이다 / 천성호 10. 신자유주의 교육 비판 / 김부태
참고문헌 프레이리의 삶의 여정
서가브라우징
자퇴할까 학교에 남을까 : 자퇴를 고민하는 학생 그리고 교사, 학부모를 위한 가이드2015 / 신민경, 이숙명 지음 / 써네스트
통합교육 = Inclusive education2014 / 신진숙 지음 / 양서원
시민교육이 희망이다 :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철학과 실천모델2017 / 지음: 장은주 / 피어나
최재천의 공부: 어떻게 배우며 살 것인가2022 / 지음: 최재천 , 안희경 / 김영사
공부의 미래 : 디지털 시대, 가르치고 배우는 일에 관한 모든 것2019 / 지음: 존 카우치, 제이슨 타운 ; 옮김: 김영선 / 어크로스 출판그룹
공부하는 사람들 : 놀이하듯 공부하는 새로운 인류의 탄생2013 / 더글라스 토머스, 존 실리 브라운 [공]지음 ; 송형호, 손지선 [공]옮김 / 라이팅하우스
탈식민주의와 교육과정 연구 2020 / 저자: João M. Paraskeva ; 역자: 김영천, 최성호 / 아카데미프레스
프레이리의 사상과 실천 : 우리 교육을 기반으로 프레이리의 페다고지를 새롭게 쓰다2017 / 지음: 김민남 외 / 살림터
학교, 민주시민교육을 만나다!2020 / 저자: 김성천 [외] / 맘에드림
(진보주의 교육의)세계적 동향 : 한국의 혁신교육, 다시 세계 진보교육을 말하다2018 / 엮음: 한국교육네트워크 / 살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