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에 들어선 한국 사회가 ‘함께 행복한 공동체’가 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당연히 법률, 사회의식, 문화, 교육 등의 대책도 필요하지만, 무엇보다 이 모든 것의 바탕이 되는 철학적 성찰이 필요하다.
목차
머리말
한국의 다문화사회를 위한 철학적 성찰 1. 한국은 다문화사회인가? 2. 왜 다문화주의 철학이 필요한가? 3. 다문화주의와 유사한 분야의 개념들 4. 다문화적 삶을 위한 이론적 갈래들 - 다문화주의와 상호문화주의 5. 다문화주의 이론의 분류 -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6. 다문화주의 착상을 지닌 근대 독일 철학 - 헤겔과 낭만주의 7. 동양은 어떠한가? - 동아시아의 변화 8. 당면한 한국 현실을 정리하며 - 시급히 해결해야 할 소수 집단 문제
상호문화철학과 독일의 상호문화교육 1. 들어가는 말 2. 문제의 배경: 세계화 및 다문화사회 속에서의 타자와의 공존 3. 상호문화성: 세계화와 다문화사회를 바라보는 기본관점 4. 상호문화철학: 상호문화성에 입각한 철학의 재구성 5. 독일의 상호문화교육 6. 결론에 대신하여: 타자와의 공생을 위한 실천모델 - 듀이의 민주주의론을 중심으로
헤겔 철학에서 다문화주의 1. 다문화적 삶과 헤겔의 연관성 2. 헤겔 철학의 개인사적 배경 3. 헤겔의 형이상학적-인식론적 지평 4. 헤겔 역사철학에서 동양관 5. 동서양 문화의 등가치성 - 문화 상대성과 절대성의 공존
불교사상에 포함된 다문화주의적 요소 1. 다문화주의의 소개 2. 불교사상의 전개 3. 불교철학과 다문화주의 4. 결론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예쁜 여자 만들기2011 / 이영아 지음 / 푸른역사
아시아를 잇는 대중문화2004 / 이와부치 고이치 지음;히라타 유키에;전오경 [공]옮김 / 또 하나의 문화
(이원복 교수의)현대문명진단2011 / 이원복 글·그림 / 사랑의학교
(이원복 교수의)현대문명진단2011 / 이원복 글·그림 / 사랑의학교
웹시대의 지성 : 21세기의 새로운 지성, 어떻게 말할 것인가?2010 / 이원희 지음 / 말글빛냄
이상한 나라의 정치학 = Politics adventures in wonderland2013 / 이원재 지음 / 한겨레출판
이상한 나라의 정치학 = Politics adventures in wonderland2013 / 이원재 지음 / 한겨레출판
다문화 사회와 철학 : 한국사회의 다문화시대를 위한 철학적 성찰2017 / 공저: 이정은 ; 이병욱 ; 정창호 / 자유문고
우리 모두 조금 낯선 사람들 : 공존을 위한 다문화2013 / 이주여성인권포럼 지음 / 오월의봄
우리 모두 조금 낯선 사람들 : 공존을 위한 다문화2013 / 이주여성인권포럼 지음 / 오월의봄
문화정치학의 영토들 : 현대문화론 강의2007 / 이진경 편저 / 그린비
(무중력 사회를 사는 우리) 유유자적 피플 = 悠悠自適 people2014 / 지은이: 이충한 / Soyo Project(소요프로젝트)
이것이 문화비평이다2011 / 이택광 지음 / 자음과모음
이것이 문화비평이다2011 / 이택광 지음 / 자음과모음
2024/2025 일본에서 유행하는 것들 : 일본 MZ 트렌드 리포트 2024 / 지음: 이하나 / bs(브레인스토어)
같이 빌린 책
다문화 사회와 한국 이민정책의 이해2015 / 지음: 김태환 / 집사재
교사를 세우는 교육과정 : 우리는 교육과정을 통해 교육을 개선할 수 있을까?2016 / 박승열 지음 / 살림터
착한 소비는 없다2020 / 지은이: 최원영 / 자연과생태
다문화사회의 국가 정체성과 다문화정책2016 / 지음: 최영은 / 북코리아
(하버드 경제학자가 쓴) 복지국가의 정치학 : 누가 왜 복지국가에 반대하는가?2012 / 지음: 알베르토 알레시나, 에드워드 글레이저 ; 옮김: 전용범 / 생각의 힘
(소셜미디어 시대에 꼭! 알아야 할) 저작권 : 창작자가 될 것인가? 표절자가 될 것인가? 2020 / 지음: 김기태 / 동아엠앤비
복지국가의 변화와 빈곤정책 : 세계 금융위기 이후의 대응2015 / 저자: 김윤태 / 집문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