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일러두기
총론 어장 침탈에서 식민 이주어촌 건설까지
1. 머리말
2. 어장 침탈과 어장 개방
3. 개항기 조선의 어업과 해양 방어
4. 어업이주와 이주어촌 건설
5. 맺음말
1장 포항 구룡포 ‘일본인촌(日本人村)’
1. 포항 구룡포
2. 가가와현 어민들의 구룡포 진출
3. 구룡포에 정착한 일본인들
4. 문화유산으로 복원된 일본인의 흔적
5. 구룡포 주민들의 기억
6. ‘과거’의 관광자원화
2장 울산 방어진 ‘히나세촌(日生村)’
1. 울산 방어진
2. 이주어촌 건설
3. 방어진의 히나세 사람들
4. 기록보관소가 된 일본인의 흔적
5. 방어진 사람들의 기억
6. ‘역사’로 편입된 식민시대
3장 거제 장승포 ‘이리사촌(入佐村)’
1. 거제도 장승포
2. 이리사촌 건설
3. 이리사촌의 일본인들
4. 이리사촌의 흔적
5. 장승포 주민들의 기억
6. 사라진 흔적, 희미한 기억
4장 거제 구조라 ‘우오시마촌(魚島村)’
1. 거제도 구조라
2. 거제도 연안 침탈과 멸치어업
3. 구조라의 일본인들
4. 일본인의 흔적
5. 구조라 주민들의 기억
6. 망각과 기억 사이에서
5장 통영 도남동 ‘오카야마촌(岡山村)’
1. 통영 도남동 작은 발개
2. 일본 어민의 어업이주
3. 오카야마촌 건설
4. 오카야마촌의 흔적
5. 오카야마촌에 대한 기억
6. 파묻힌 흔적, 잊혀진 기억
6장 통영 욕지도 자부포(自富浦)
1. 통영 욕지도
2. 민간인 거주 허용
3. 일본 어민과 이주어촌
4. 자부포의 일본인 흔적
5. 지역주민들의 기억
6. 이름으로 남은 흔적
7장 고흥 나로도 축정(築亭)
1. 고흥 나로도
2. 새우와 갯장어 어업의 근거지
3. 일본인과 나로도 축정
4. 축정의 일본인 흔적
5. 나로도 주민들의 기억
6. ‘나라섬’(國島), 우주발사기지가 되다
8장 여수 거문도 ‘일본촌(日本村)’
1. 여수 거문도
2. 외세침탈과 거문도
3. 일본인 이주어촌 형성
4. 일본인의 흔적
5. 주민들의 기억
6. 이섬(夷島) 혹은 왜섬(倭島)에서 거문도(巨文島)로
맺음말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