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Ⅰ장. 『조선불교유신론』 해제
1. 저자 한용운(韓龍雲)에 대하여
2. 저술의 시대 상황적 배경: 전통과 근대의 갈림길
3. 『조선불교유신론』의 내용
4. 만해의 사상적 배경: 량치차오(梁啓超)와 사회진화론
Ⅱ장. 조선불교유신론(朝鮮佛敎維新論) 역주(譯註)
1. 서(序)
2. 서론(緖論)
3. 불교의 성질을 논함(論佛敎之性質)
4. 불교의 주의(主義)를 논함(論佛敎之主義)
5. 불교의 유신(維新)은 먼저 파괴부터 해야 함을 논함(論佛敎之維新宜先破壞)
6. 승려의 교육을 논함(論僧侶之敎育)
7. 참선을 논함(論參禪)
8. 염불당 폐지를 논함(論廢念佛堂)
9. 포교를 논함(論布敎)
10. 사원의 위치를 논함(論寺院位置)
11. 불가(佛家)에서 숭배하는 소회(塑繪)를 논함(論佛家崇拜之塑繪)
12. 불가(佛家)의 각종 의식을 논함(論佛家之各種儀式)
13. 승려의 인권회복은 반드시 생산하는 데서 비롯되는 것임을 논함(論僧侶之克復人權必自生利始)
14. 불교의 앞날이 승니(僧尼)의 결혼여부와 관련됨을 논함(論佛敎之前途가 關於僧尼嫁娶與否者)
15. 사원 주직(住職)의 선거법을 논함(論寺院住職選擧法)
16. 승려의 단결을 논함(論僧侶之團體)
17. 사원의 통할을 논함(論寺院統轄)
18. 결론(結論)
Ⅲ장. 『조선불교유신론』의 번역과 그 연구 - 만해학(萬海學)의 ‘빛과 그림자’ -
1. 『조선불교유신론』 새 번역의 필요성
2. 『조선불교유신론』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3. 만해의 일본행과 『조선불교유신론』의 관계
4. 본 번역본에 대하여
『조선불교유신론』 영인본 / 별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