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지 시대의 ‘조선’문학과 분단 이후의 한국과 북한문학에 대한 일본인의 이해를 돕기 위해 <홋카이도신문>에 연재한 칼럼과 윤동주 문학에 대한 <니시니혼신문> 기고문, <실천문학>에 게재한 임종국과 김학철을 추억하는 글을 모은 것이다.
목차
자서
민족적 저항 정신과 인간애 민족의 주체성을 묻다 사회의 변모를 반영하는 시 시정의 애환을 묘사한 김사량 통일문학전집 간행으로 활발한 교류를 만주에서 살았던 조선 청년의 고뇌를 보여주는 원고 잊혀져버린 김용제 한용운을 향한 뜨거운 시선 전쟁에 농락당한 생애 상호이해, 일본을 앞서다 남북에서 아직까지 불리는 동요 합법의 틀 안에서 '친일'거부 겸허하게 살아가는 서민들 무거운 과제를 짊어진 제주도 네 종류의 선집과 북한의 문화적 수준 뜨거워지는 북한 연구 열기 인정을 받은 임종국의 친일문학 연구 거종, 침묵을 강요당한 당시의 상징 각광받지 못하는 초조함 지금은 여성들이 동경하는 땅 남북 융합을 위한 교류 진전 남북을 넘어 평가받는 『인간문제』 재일조선인의 ‘모국어 문학’ 나라꽃에 나타난 민족의 기개 조선문화를 사랑한 김종한 조선어의 아름다움을 오롯이 보여준 시인 ‘분단시대’의 표현을 모색하다 남북화해에 앞장선 주명구의 인생 마음을 씻어주는 서정시 한 작품에 텍스트는 13종 사람의 발자취 드문 포로수용소 자리 작은 섬에 감춰진 항일의 역사 피부로 느낀 두터운 도의심 인천의 옛 조계지 관광에 활용 미래를 비추는 기증 문화재 시비가 병사의 사기를 떨어뜨린다?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시 세 얼굴을 가진 비극의 문학자 『통일문학』첫 남북 공동 편집 전향을 강요당한 프롤레타리아 시인 제주도에 연연하는 이유 끝까지 일본인 여성을 사랑한 이중섭 공교육에서도 소외되는 한자 번역으로 보는 근대화의 사회 상황 ‘팔방미인’은 칭찬하는 말 제주학의 초석을 놓은 '나비박사' 사회를 비추는 비석의 '흉터' 생활방식을 묻는 '대동아문학자대회' 조선어로 그린 고바야시 다키지의 맨얼굴 시혼의 원형을 찾아서 윤동주 연구 임종국 선생님을 그리며 김학철金學鐵 선생님의 편지
역자 후기
서가브라우징
전망의 발견2003 / 양진오 지음 / 실천문학
질주와 산책2003 / 엄경희 저 / 새움
문학과 시대현실 : 염무웅 평론집2010 / 염무웅 지음 / 창비
문학과 시대현실 : 염무웅 평론집2010 / 염무웅 지음 / 창비
세계문학공간의 조이스와 한국문학2013 / 오길영 지음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세계문학공간의 조이스와 한국문학2013 / 오길영 지음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한국문학의 동아시아적 지평 = East Asian prospect of Korean literature2017 / 지음: 오무라 마스오 ; 옮김: 곽형덕 / 소명
한일 상호이해의 길 = The way to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Korea and Japan2017 / 지음: 오무라 마스오 ; 옮김: 정선태 / 소명출판
개혁개방과 중국조선족 소설문학2001 / 오상순 저 / 월인
문학의 숲에서 느리게 걷기2004 / 오생근 [저] / 문학과지성사
정명환 : 깊이 읽기2009 / 오생근 ; 정과리 [공] 엮음 / 문학과지성사
정명환 : 깊이 읽기2009 / 오생근 ; 정과리 [공] 엮음 / 문학과지성사
우상의 눈물2005 / 오세영 지음 / 문학동네
滿洲移民文學硏究2007 / 吳養鎬 著 / 문예출판사
비평의 모험2005 / 오창은 지음 / 실천문학
같이 빌린 책
우리가 글을 몰랐지 인생을 몰랐나 : 여든 앞에 글과 그림을 배운 순천 할머니들의 그림일기2019 / 지음: 권정자 ; 김덕례 ; 김명남 ; 김영분 ; 김유례 [외] / 남해의봄날
선택 : 테마 2008|5인 중편소설집2015 / 지은이: 양진채, 이경희, 정태언, 조현, 허택 /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