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감사의 글
들어가는 글
제1장 근본 원인의 오류
이슬람 테러리즘: 빈곤도, 교육의 부족 때문도 아니다
이스라엘-아랍 분쟁 때문도 아니다
미국의 외교정책 때문도 아니다
서양의 제국주의 때문도 아니다
십자군 전쟁 때문도 아니다
제2장 이슬람 테러리즘에 대한 해명들
인간행위, 자유의지, 책임
동력으로서 이데올로기가 가지는 의의
소비에트 연방과 공산주의
나치즘의 이데올로기
이슬람, 혹은 이슬람 테러리스트들의 이데올로기
제3장 지하디스트 안의 마르크스, 프로이트와 다윈
이슬람 테러리즘의 수정주의적 시각
중동에서 종교가 가지는 의의
제4장 원인 요인으로서의 이슬람 교리
쿠란
샤리아 우월주의
수나와 무함마드
샤리아
신앙: 하나님과 타우히드
선행을 명하고 악행을 금함
내세: 이슬람의 삶이 아닌, 이슬람의 피와 죽음
제5장 지하드의 의미
지하드의 정의
지하드에 대한 설명
지하드를 연구하는 현대 학자들
제6장 지하드, 이론과 실천
쿠란 속의 지하드
지하드에 대한 초기 무슬림 학자들의 견해
지하드에 관한 하디스
법적 정의
제7장 지하드의 목표
마흐디
순교
순교에 대한 보상
지하드에 관한 법학파들
지하드의 영적 본질
위대한 지하드와 덜한 지하드
결론
제8장 무함마드의 운동과 초기 정복 활동
이슬람의 이데올로기
제9장 최초의 테러리스트?
하와리즈파의 기초 교리
하와리즈파의 후기 역사
하와리즈 운동의 의의
제10장 사흘 이븐 살라마, 바르바하리 및 비다
광신적 테러리즘과 바르바하리
제11장 바그다드의 종교적 폭력사태, 991-1092년
수니파와 시아파의 분열
제12장 이븐 타이미야
초기 생애와 교육
권력에의 충돌과 투옥
이븐 타이미야의 성격
지하드에 대한 요청
선행을 명하고 악행을 금하는 일에 관한 고찰
이븐 타이미야의 반-몽골 파트와
맞서 싸워야 할 무리들
혁신, 이단, 종교적 소수자들
더 많은 혁신들
수피파와 시아파
유대인, 기독교인, 알 딤미
지하드의 위대한 재생산가
제13장 17세기 이스탄불의 카디자델리 운동
카디자드 메흐메드
카디자델리파의 영향
이븐 타이미야의 영향
제14장 이븐 압드 알 와하브와 18세기 개선 및 개혁
18세기
근본주의와 18세기 카이로의 종교 폭동에 관한 견해
와하브주의의 탄생
나즈드와 한발리 전통
와하브 이전의 신앙과 관행
무함마드 이븐 알 와하브
영향력 및 일부 교리
이븐 알 와하브의 다른 글들
와하브주의의 진정한 원인과 목적
와하브주의에 대한 비판과 이크완
와하브주의의 영향
제15장 사이드 아불 알라 마우두디
이슬람 지배하의 인도, 13-14세기
샤이흐 아흐마드 시르힌디와 16세기
샤 왈리 알라와 18세기
사이드 아흐마드 브렐뤼
사이드 아불 알라 마우두디
제16장 S. K. 말리크 준장과 쿠란이 말하는 전쟁
파키스탄의 이슬람화
제17장 하산 알 반나와 무슬림형제단
무슬림형제단의 이데올로기
필수적 폭력
무슬림형제단과 이슬람의 전체주의적 본질
제18장 아민 알 후세이니와 나치
알 후세이니, 이슬람, 그리고 폭력
극단적 무슬림의 진정한 영웅
통합을 위한 노력들
제19장 사이드 쿠틉
핵심 사상
해결책: 지하드
제20장 무함마드 압드 알 살람 파라즈와 도외시된 임무
이슬람 근본주의의 이념
제21장 압둘라 아잠과 무슬림 영토의 방어
학자의 잉크, 순교자의 피
제22장 아이만 알 자와히리
예언자의 깃발 아래에 선 기사들
제23장 아야톨라 루홀라 호메이니와 이란 혁명
호메이니 득세의 역사적, 정치적 배경
1979년 이란 혁명이 이슬람 세계에 미친 영향
아야톨라 루홀라 호메이니
이슬람 혁명
이슬람의 헌법
이란이슬람공화국
국가폭력
제24장 결론
지하드의 부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