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고조선과 단군신화, 불교, 위만 조선·낙랑군·북대방·남대방·가야 역사는 「삼국유사」에 실려 우리 고대사의 실마리를 전한다. 「삼국유사」에 실린 신화 같은 기이한 이야기들은 우리 고대사를 짐작케 하는 중요한 자료이며, 우리 신화의 뿌리이다.
목차
1부 일연의 생애와 《삼국유사》
세상을 두루두루 비추어라
진리를 찾아 집을 떠나다
공부를 하니 세상이 보이는구나
절박해야 세상이 보일 것이니
천자의 나라가 오랑캐에 무너지다
주먹밥 열두 덩이와 《삼국유사》
2부 《삼국유사》 들여다보기
기이하지만 실마리가 되는 이야기 1 제1권 기이
알지 거서간이 대번에 일어나다
기이하지만 실마리가 되는 이야기 2 제1권 기이
용의 아들 처용이 돌림병 귀신을 물리치다
불교가 일어나다 제3권 흥법
꽃비가 하늘하늘 내리다
탑과 절에 얽힌 이야기 제3권 탑상
처자가 노힐부득과 달달박박을 찾아오다
바른 것을 또렷하게 풀다 제4권 의해
원광이 여우 귀신의 도움을 받다
신령스런 주문 제5권 신주
이무기와 혜통 법사의 질긴 인연
누가 들어도 감동스런 이야기 제5권 감통
김현과 호랑이 각시의 하룻밤 인연
세상을 피해 숨어 살다 제5권 피은
연회가 속마음을 들키다
효도와 착한 행실 제5권 효선
아이를 땅에 묻으려다 돌 종을 얻다
3부 《삼국유사》와 《삼국사기》는 어떻게 다른가?
《삼국유사》와 《삼국사기》
김부식에게 고구려·신라·백제는 서로 다른 세 나라
‘유사’란 대체 무얼 말하는 걸까요?
부족한 부분을 서로 채워 주는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