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머리에
감사의 글
1장 서문
2장 한대(漢代) 정책결정의 제도적 과정
1. 입안(立案) 단계의 형식
1) 황제의 명령에 의한 발의의 형식
2) 관료 및 인민의 의견 상신(上申)의 형식
2. 심의(審議) 단계의 형식
1) 대의(大議)와 정의(廷議)
2) 공경의(公卿議)
3) 유사의(有司議)
4) 재상부의(宰相府議)
5) 중조의(中朝議)
3. 집행(執行) 단계의 형식
1) 황제의 재가
2) 법령화(法令化)와 발령(發令)의 제도적 절차
(1) 상주문(上奏文)의 상정절차
(2) 법령화(法令化)와 발령(發令)의 절차
소결(小結)
3장 한대(漢代) 정책결정의 주제별 분석
1. 치수(治水), 경제(經濟) 관련 사안
1) 치수(治水) 관련 사안
2) 경제 관련 사안
2. 정치(政治)·법률(法律) 관련 사안
3. 인사(人事) 관련 사안
4. 군사(軍事)·외교(外交) 관련 사안
5. 황실(皇室) 및 황위계승(皇位繼承) 관련 사안
1) 황실(皇室) 관련 사안
2) 황위계승(皇位繼承) 관련 사안
6. 묘제(廟制)·능읍(陵邑), 교사(郊祀)·예악(禮樂) 관련 사안
1) 묘제(廟制)·능읍(陵邑) 관련 사안
2) 교사(郊祀)·예악(禮樂) 관련 사안
7. 학술(學術)·사상(思想) 관련 사안, 기타 안건
1) 학술(學術)·사상(思想) 관련 사안
2) 기타 안건
소결(小結)
4장 한대(漢代) 정책결정의 시기별 특성
1. 전한(前漢) 정책결정과정의 시기별 특성
1) 전한(前漢) 전기(前期)의 정책결정과정
(1) 의제의 형성
(2) 의제에 대한 논의율
(3) 의제에 대한 시행률
2) 전한(前漢) 중기의 정책결정과정
(1) 의제의 형성
(2) 의제에 대한 논의율
(3) 의제에 대한 시행률
3) 전한(前漢) 후기의 정책결정과정
(1) 의제의 형성
(2) 의제에 대한 논의율
(3) 의제에 대한 시행률
2. 후한(後漢) 정책결정과정의 시기별 특성
1) 후한(後漢) 전기의 정책결정과정
(1) 의제의 형성
(2) 의제에 대한 논의율
(3) 의제에 대한 시행률
2) 후한(後漢) 중기의 정책결정과정
(1) 의제의 형성
(2) 의제에 대한 논의율
(3) 의제에 대한 시행률
3) 후한(後漢) 후기의 정책결정과정
(1) 의제의 형성
(2) 의제에 대한 논의율
(3) 의제에 대한 시행률
소결(小結)
5장 한대(漢代) 정책결정과정과 관료제의 발달
1. 한대(漢代) 정책결정과정과 관료의 역할
1) 한대(漢代) 관료의 발의기능
2) 한대(漢代) 관료의 심의기능
2. 한대(漢代) 정책결정구조의 변천
1) 한대(漢代) 발의관료
(1) 전한(前漢)의 발의관료
(2) 후한(後漢)의 발의관료
2) 한대(漢代)의 심의관료
(1) 전한(前漢)의 심의관료
(2) 후한(後漢)의 심의관료
3) 한대(漢代) 심의구조의 변천
3. 한대(漢代) 정책결정과정과 관료제의 변천
1) 발의·심의기능과 집행기능의 일원화와 관료제
2) 발의·심의기능과 집행기능의 이원화와 관료제
(1) 전한(前漢) 말기 이원화 초기
(2) 후한(後漢) 초기 이원화 정착기
3) 발의·심의기능과 집행기능 이원화의 변용과 관료제
소결(小結)
6장 위진시대(魏晋時代) 정책의 논의와 집행
1. 조위시대(曹魏時代)의 정책 논의
1) 정책결정 회의의 유형
(1) 조의(朝議)
(2) 정의(廷議)
(3) 대의(大議)와 박의(博議)
(4) 공경의(公卿議), 군신의(群臣議)
(5) 유사의(有司議)
(6) 삼부의(三府議) 등 기타
2) 조위시대(曹魏時代)의 정책 논의 안건
2. 진대(晋代) 정책 논의
1) 정책결정 회의의 유형
(1) 조의(朝議)
(2) 대의(大議), 박의(博議), 군신의(群臣議)
(3) 유사의(有事議), 삼부의(三府議)
(4) 상의(詳議), 참의(參議)
2) 진대(晋代)의 정책 논의 안건
3. 위진시대(魏晋時代)의 정책결정과정과 관료제
7장 맺음말
부록
전한 정책의제 일람표
후한 정책의제 일람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