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서문
제1부 경제 전반
1장 북한의 거시경제 운용체계
1. 경제위기로 인한 정책여건의 변화
2. 거시경제 운용체계의 재편
3. 새로운 거시경제 운용체계에 대한 평가
2장 계획과 시장의 공존: 북한식 이중경제구조의 특징
1. 국가의 정책방향
2. 7·1 조치와 시장화 촉진정책
3. 시장화 억제정책
4. 이중경제구조의 특징
5. 향후 전망: 이중경제구조의 미래
보론 북한의 화폐개혁에 대한 평가와 전망
1. 북한정부의 의도: 화폐개혁의 목적
2. 화폐개혁 성공 시나리오
3. 화폐개혁 실패 시나리오
4. 화폐개혁의 실시 및 이후의 경과
5. 요약 및 결론
제2부 대외경제관계
3장 북한의 대외무역 운용체계
1. 무역제도의 변천과정
2. 무역기구와 무역관리체계
3. 대외무역 운용체계: 공식 제도와 현실
4. 대외무역 운용체계에 대한 평가: 성과, 한계, 부작용
5. 요약 및 결론
4장 북한경제의 대중국 의존성
1. 북한경제 내 생산활동과 대중국 의존성
2. 북한경제 내 상품유통활동과 대중국 의존성
3. 북한경제 내 서비스활동과 대중국 의존성
4. 북한경제 내 금융활동과 대중국 의존성
5. 요약 및 결론
제3부 국가와 시장의 관계
5장 북한에서의 시장의 형성과 발달: 4대 시장을 중심으로
1. 개념적 틀
2. 소비재시장의 형성과 발달(1): 종합시장의 등장과 발달
3. 소비재시장의 형성과 발달(2): 국영상점의 시장화
4. 생산재시장의 형성
5. 자본·금융시장과 노동시장의 형성
6. 시장 형성·발달의 파급효과
7. 시장 형성·발달의 배경과 조건
8. 결론: 부분적 시장화
6장 북한의 시장화 수준 평가
1. 선행연구 검토
2. 연구방법
3. 시장화 수준 평가
4. 요약 및 결론
제4부 국가와 기업·노동의 관계
7장 북한의 기업관리시스템과 인센티브 구조
1. 7·1조치 이전의 기업관리시스템과 인센티브 구조
2. 7·1조치 이후의 기업관리시스템과 인센티브 구조
3. 요약 및 결론
8장 북한의 경제위기 이후 기업지배구조 변화
1. 전제적 논의
2. 기업지배구조의 변화
3. 기업지배구조 변화의 원인과 조건
4. 요약 및 결론
제5부 중앙과 지방의 관계
9장 북한의 자립적 지방경제: 역사적 개관과 평가
1. 분석틀
2. 자립적 지방경제의 구성요소
3. 자립적 지방경제의 형성: 1958~1969년
4. 자립적 지방경제의 제도화: 1970~1983년
5. 자립적 지방경제의 확대·발전: 1984~1989년
6. 자립적 지방경제에 대한 평가
7. 요약 및 결론
10장 북한의 경제위기 이후 지방경제 운용체계 변화
1. 개념적 틀: 시장화와 분권화
2. 1990년대 이전의 지방경제 운용체계
3. 1990년대 경제위기와 지방주민생활의 변화
4. 지방에서의 식량 및 소비품 공급체계의 변화
5. 1990년대 지방경제에 대한 평가
6.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