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자 이정우의 <세계철학사> 3부작. 1권 이후 무려 7년 만에 2권이 출간되었다. 이 책을 통해 1권만으로는 채 다 가늠할 수 없었던 이정우 세계철학사의 너비와 깊이, 관점을 비로소 확인할 수 있다. 2권에서는 동북아와 인도의 철학을 살펴본다.
목차
여는 말
1부 잃어버린 길을 찾아서 1장 동북아세계의 형성 §1 점복에서 ‘역(易)’으로 §2 동북아 왕조국가의 구조 §3 ‘천하무도’의 시대와 ‘사’의 등장 2장 ‘역’의 사유: 사건, 의미, 행위 §1 ‘역’이란 무엇인가 §2 『역경』의 구조 §3 역(易)의 사상 §4 ‘역’과 동북아 사유의 전개 3장 기(氣)의 세계: 신체, 생명, 문화 §1 ‘기’란 무엇인가 §2 음양과 오행의 존재론 §3 기학과 동북아 사유의 전개 4장 ‘도’를 찾아서: 난세의 철학자들 §1 헤게모니의 시대 §2 공자: 만세(萬世)의 사표(師表) §3 자연과 작위 §4 예치와 법치 §5 인과 겸애 5장 하늘과 땅 사이에서 §1 전쟁하는 국가들 §2 학파들의 시대 §3 맹자와 유교 도덕형이상학의 정초 §4 장자와 ‘천하’질서로부터의 탈주 §5 종합적 사유의 출현 6장 ‘천하’의 철학과 ‘강호’의 철학 §1 유교사회의 도래 §2 다원화의 시대 §3 ‘천하’와 ‘강호’
2부 마음의 등불을 들고서 7장 해탈에 이르는 두 길 §1 본체적 자아로의 해탈 §2 붓다의 가르침 8장 존재와 생성 사이에서 §1 ‘법’이냐 ‘공’이냐 §2 6파의 철학, 다시 ‘우파니샤드’로 §3 힌두교와 불교 9장 삼교정립(三敎鼎立) §1 유교와 도교 §2 도교와 불교 §3 불교와 유교 10장 본연과 원융의 철학 §1 성리학의 탄생 §2 상수학, 기학, 이학 §3 주자의 종합 11장 사람의 마음 §1 사단과 칠정 §2 인심과 도심 §3 인성과 물성 12장 새로운 자아의 발견 §1 ‘양지’의 행동철학 §2 인정(人情)을 찾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