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마을연구에 기반하면서도, 지금까지의 마을연구에서 간과되어 왔던 마을에서의 로컬리티 탐색을 중요한 연구목표로 삼았다. 로컬로서 마을은 구성원들의 삶의 현장이면서, 상호작용하는 다양한 요소들로 구성되는 하나의 개체로 이해하였다.
목차
책머리에
1부 일상과 공동체 마을연구와 일상생활이론의 적용 / 이동일 1. 일상의 무대로서 마을 2. 마을연구와 공동체 3. 마을을 보는 관점으로서 일상생활 이론 4. 마을과 공동체 그리고 일상의 영역 5. 마을 만들기와 마을연구의 연결-일상과 현실 6. 실제 마을 연구-변산공동체와 야마기시실현지를 중심으로 7. 마을과 일상의 역설 압축근대시기 농촌마을의 일상과 로컬리티-새마을운동을 중심으로 / 차철욱 1. 마을과 일상, 그리고 국가 2. 압축근대와 농민의 욕망 3. 마을 사람들의 일상과 잠재력 4. 새마을운동과 마을 사람들의 대응 5. 일상의 시간과 로컬리티 도시 동족마을에서 문중조직의 활동과 역할 / 변광석 1. 도시의 동족마을 2. 동족마을의 실태와 문중조직 3. 마을의 개발사업과 주민의 활동 4. 마을의 계조직 활동과 의례 5. 동족마을의 발자취
2부 문화와 재현 마을 문화와 지역성의 동학 / 박해광 1. 지역적인 것의 복원과 마을 2. 마을과 지역성 3. 마을과 마을 문화 4. 마을 문화와 지역성-현실과 쟁점 5. 전지구적 지역성의 함정과 마을 문화의 의미 마을 문화의 재구성과 차이의 가능성-삼지내마을의 슬로시티 인증을 중심으로 / 차윤정 1. 로컬리티, 왜 마을 문화에서 출발하나? 2. 글로벌화와 흔들리는 로컬 3. 글로컬화와 슬로시티 만들기 4. 달팽이 표상과 전면화 되는 문화 5. 달팽이 표상의 이면-배제와 소외 6. 동일성을 넘어 다시 ‘삶의 터’로 마을의 역사적 경험과 재현-대구시 우록리 사례로 / 양흥숙 1. 변하는 마을 속의 기억과 역사자원 2. 항왜降倭 김충선의 마을, 우록리 3. 우록리 동약洞約과 마을의 결속 4. 문중, 역사자원 그리고 전승 5. 기억의 재현과 마을의 변화
3부 공간과 변이 도시화에 의한 마을공간의 분절과 구성원의 연대-대천마을과 대천천네트워크를 중심으로 / 공윤경 1. 마을, 도시화 그리고 불균형 2. 공간의 재구성과 접근방법에 대한 고찰 3. 도시화에 의한 마을공간과 계층의 분절 4. 구성원의 연대와 공생으로의 가치 전환 5. 분절을 넘어 하나의 공생체로 시민 자치 장소로서의 조선 마을-1970년대 후반~1980년대 후반 우토로 초기 지원자에 주목하여 / 전은휘 1. 재일코리안 주민운동의 일본인 지원자들 2. 배경-분화되는 조선의 심상지리 3. 불법점거 지구의 거주권 운동과 지역과의 관계 4. 교토 남부 교외지역 시민들의 조선 문제 5. 시민의 조선 문제에서 내 주변의 사회 문제로 6. 조선인 마을에서의 저항의 연대
서가브라우징
환경사란 무엇인가?2022 / 지음: 도널드 휴즈; 옮김: 최용찬 / 앨피
환경사란 무엇인가?2022 / 지음: 도널드 휴즈; 옮김: 최용찬 / 앨피
바닷마을 인문학2020 / 지음: 김준 / 따비
바닷마을 인문학2020 / 지음: 김준 / 따비
시골을 살리는 작은 학교 : 폐교 직전 되살아난 서하초의 기적 2023 / 지음: 김지원 / 남해의봄날
땅에서 삶을 짓다 : 자립과 공존을 꿈꾸는 청년들의 함께 살기 실험2016 / 씀: 진현준 ; 정혜성 / 교육공동체 벗
땅에서 삶을 짓다 : 자립과 공존을 꿈꾸는 청년들의 함께 살기 실험2016 / 씀: 진현준 ; 정혜성 / 교육공동체 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