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건강가정에 대한 이론적 이해
제1장. 건강가정의 개념과 필요성
1. 건강가정의 개념과 등장 배경
2. 건강가정의 특징
3. 건강가정의 필요성
제2장. 현대 사회와 가족의 변화
1. 현대 사회와 가족의 변화
2. 한국 가족의 이념적 변화
3. 한국 가족의 구조적 변화
4. 한국 가족의 기능적 변화
제3장. 건강가정의 이론적 접근
1. 가족발달이론
2. 가족체계이론
3. 가족역동성 모델
4. 상징적 상호작용론적 접근
5. 가족 강점 시각
6. 여권주의적 접근
7. 경제적 관점: 가정생산이론
제2부. 건강가정 관련 정책과 법
제4장. 건강가정정책
1. 건강가정정책의 개념
2. 건강가정정책의 범주와 분류
3. 한국 건강가정정책의 현황
제5장. 건강가정기본법
1. 건강가정기본법의 개관
2. 건강가정기본법의 주요 내용
3. 건강가정기본법의 과제
제6장. 다문화가족지원법
1. 한국 사회에서의 다문화가족
2. 다문화가족지원법의 개관
3. 다문화가족지원법의 주요 내용
4. 다문화가족지원법의 과제
제3부. 건강가정사업의 전달체계
제7장. 건강가정지원센터
1.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현황
2. 사업 주체별 기능과 역할
3.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설치 및 운영
4.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사업
5. 건강가정지원센터 사업의 향후 과제
제8장. 다문화가족지원센터
1.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현황
2. 사업 주체별 기능과 역할
3.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운영
4.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기본 사업
5.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별도 지원 사업
6.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향후 과제
제9장.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가족서비스 전달체계
1.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 통합서비스센터
2. 한부모가족지원센터(미혼모부자지원기관)
3. 사회복지관
4. 기타 가족서비스 제공 기관
제4부. 건강가정사업의 실제
제10장. 건강가정사업의 실무(I): 지역사회 분석과 요구도 조사
1. 건강가정사업을 위한 지역사회 분석
2. 건강가정사업을 위한 요구도 조사
제11장. 건강가정사업의 실무(II): 프로그램 기획
1. 프로그램 기획이란
2. 프로그램 기획의 과정
3. 건강가정사업 프로그램 개발의 예시
제12장. 건강가정사업에서의 실천기술 및 사례관리
1. 건강가정사업을 위한 기본 실천기술
2. 건강가정사업에서의 사례관리
제13장. 건강가정 현장실습
1. 건강가정 현장실습
2. 건강가정 현장실습의 운영
3. 현장실습 지도 및 감독
4. 건강가정사의 자격과 역할
부록
1. 건강가정기본법
2. 다문화가족지원법
3.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우수 프로그램 사례
4. 센터 사업 관련 서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