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한울문화재 연구원장 김홍식의 <아름다움 산책>. 첫번째 산책로 '그 시대의 세계관을 담다', 두번째 산책로 '규모에 따라 공간이 바뀌다', 세번째 산책로 '다양한 아름다움들을 디자인하다'로 구성되었다.
목차
아름다움산책로 1 그 시대의 세계관을 담다
1. 예술품은 그 시대의 사람을 닮는다
2. 우리나라의 석탑은 중심에 똑바로 놓인 게 하나도 없네!
3. 좌로 돌게 할 것인가, 우로 돌게 할 것인가!
4. 도가(道家)의 엄격함 - 정도전의 경복궁
5. 술가(術家)의 자연미 - 광해군의 경희궁
6. 영남의 남인과 기호 서인의 집들 - 주리론자와 주기론자
7. 남인과 서인의 차실(茶室) - 다산의 다도와 다산초당
8. 계파 율종계의 건축은 왜 불탑을 높이 세울까?
9. 유가종계(법상종)의 건축은 왜 불탑을 2개로 나누어 세웠을까?
10. 불국사의 석가탑, 다보탑은 왜 그렇게도 다른가?
11. 화엄종 사찰 - 원효계와 의상계
12. 구산선문의 탑과 가람
13. 백제와 고려시기 불교의 변천과 불탑
14. 여말선초의 라마식 다층 석탑과 백장청규식 종(鐘) 모양 부도
15. 망탑(望塔) - 가람 밖에 서 있는 탑
아름다움산책로 2 규모에 따라 공간이 바뀌다.
1. 양택론의 기본 이론과 동서사택(東西四宅)
2. 한양 도시계획에서의 동서사택론(東西四宅論)
3. 우주의 중심인 집의 복판은 마루인가? 마당인가?
4. 체상용(體相用)의 미학
5. 국,방,좌,향(局,方,座,向)을 중요시하다.
6. 정택(靜宅)과 동택(動宅)이란?
7. 전각(殿閣)에서의 변택(變宅)과 화택(化宅)이란?
8. 일으키고 이어가는 기승(起承)의 아름다움
9. 르 코르뷔지에도 우리의 전통공간계획을 알고 있었네!
아름다움산책로 3 다양한 아름다움들을 디자인하다.
1. 짧은 모서리를 집의 정면으로 삼다
2. 세로로 길게 배치하다
3. 둥그런 지붕을 얹다 - 천원지방(天圓地方)
4. 하늘을 나는 경쾌함 - 순천 선암사 강선루
5. 다리를 물에 시원하게 담그다 - 수각(水閣)
6. 다리 위에서 낭만을 품다 - 경주 월정교
7. 내민보식 돌다리를 걷다 - 경희궁 금천교
8. 옛날 수세식 뒷간은 어떠했을까 - 창덕궁 측간(厠間)
9. 창문에 창호지를 붙이기 시작하다.
10. 조선시대는 창호가 어떻게 발전했을까?
11. 네모기둥과 두리기둥, 그 쓰임새의 다름
12. 없는 듯 있는 계단, 도깨비 혹을 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