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친일음악론 = The theory of Pro-Japanese music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in Korea
발행연도 - 2017 / 지은이: 노동은 / 민속원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411791
-
ISBN
9788928511037
-
형태
331 p. 24 cm
-
한국십진분류
예술
>
음악
>
-
카테고리분류
예술/대중문화
>
음악
>
음악이론/비평/역사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민족음악연구회 회장 및 중앙대 국악대학장을 지냈고, 안중근 의사의 ‘옥중가’를 처음 국내에 소개했던 음악학자 고(故) 노동은교수의 1주기를 맞아 출간한 유작집이다. 노동은 교수가 생전에 작성해 놓은 책 출간 계획에 따라 그 동안 연구하고 써 놓았던 글들을 선별해 편집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을 펴내며 - 민족음악론 모색의 출발점
제1장 친일음악 연구현황과 과제
1. 왜 ‘친일음악’이 문제인가?
2. 기존연구의 성과와 과제
제2장 일제강점과 조선총독부의 음악통제정책
1. 음악사회의 통제와 친일 음악가 육성
2. 일본 음악교육의 강제화
3. 한국전통음악의 약체화와 항일음악의 등장
제3장 일제강점기 음악인들의 친일논리와 성격
1. 음악가들의 친일 전향
2. 음악학자들의 친일논리
제4장 친일음악단체의 활동과 참여음악인들
1. 친일음악 단체의 등장배경
2. 주요 친일음악단체의 활동
제5장 1930년대 대중음악계와 친일음반
1. 왜 일제하 대중음악계가 문제인가?
2. 1930년대 엔카류 대중가요의 역사적 조건
3. 1930년대 친일음반 현황과 가사 내용
4. 새로운 탄생을 위하여
제6장 만주국의 음악정책과 한국 음악가의 활동
1. 만주음악 연구현황
2. 만주국의 음악정책
3. 만주국 악단의 조직과 전개
4. ‘왕도낙토’를 꿈꾼 조선 음악인들
제7장 우리 안의 일본 노래
1. ‘무엇’이 ‘왜’ 일본노래인가?
2. 일본동요의 양식과 요소
3. 일본의 음향적 재료의 특징
4. 일본노래, 그 회한과 전망
제8장 닫으며: 무엇을 청산해야 하는가?
참고문헌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