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교육이 바로 서야 국가가 잘된다
제1장 교육의 잃어버린 차원들
1. 들어가는 말
2. 교육의 잃어버린 차원의 성격
3. 교육의 잃어버린 차원들
4. 존재할 수 있는 능력에로의 교육
제2장 교육의 집을 재건축하자
1. 들어가는 말
2. 교육의 집 재건축의 전제조건
3. 재건축의 기본방향 하나: 시험제도의 혁신
4. 재건축의 기본방향 둘: 교원양성제도의 혁신
5. 재건축의 기본방향 셋: 교육은 존재의 예술이다
6. 맺는말
제3장 민족개조를 통한 국가개조
1. 들어가는 말
2. 교육을 통한 민족개조의 고전적 사례들
3. 교육을 통한 민족개조
4. 맺는말
제4장 민주시민을 교육하자
1. 들어가는 말
2. 누가 민주시민인가
3. 민주시민교육이란 무엇인가
4. 어떻게 교육하여야 할까
5. 학교에서의 민주시민교육
6. 사회에서의 민주시민교육
7. 맺는말
제2부 기독교교육에서 배운다
제5장 한국의 기독교교육과 역사
1. 들어가는 말
2. 한국 기독교교육의 역사적 특성
3. 언더우드의 눈으로 본 한국의 초대교회
4. 한국의 초대 교인 이상재를 통해 본 기독교적 교육문화운동
5. 105인 사건에서 신사참배까지
6. 여성들에 의한 기독교적 교육문화운동
7. 맺는말
제6장 한국 교회의 기독교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1. 들어가는 말
2. 한국 교회의 기독교교육을 성경으로 돌아가 살펴보기
3. 한국 교회의 기독교교육을 초대교회로 돌아가 살펴보기
4. 한국 교회의 기독교교육을 한국의 초대교회로 돌아가 살펴보기
5. 맺는말
제7장 기독교교육에서의 평등성
1. 들어가는 말
2. 인간인식의 전개와 교육평등성
3. 세상적 평등성 개념의 문제
4. 기독교교육적 평등성의 척도와 규범
5. 달란트의 비유에 담겨 있는 평등성
6. 맺는말
제8장 기독교교육에서의 수월성
1. 들어가는 말
2. 한국의 교육과 교육학이 추구하는 수월성
3. 수월성의 차원들
4. 수월성 교육의 범례: 토라 학습법
5. 기독교교육이 추구하여야 할 수월성
6. 맺는말
제3부 지속 가능하고 홀리스틱한 교육철학을 지향하자
제9장 21세기 교육철학의 방향 모색
1. 들어가는 말
2. 포스트모던
3. 형태와 색깔의 조화와 불일치
4. 우리 시대의 애가
5. 교육철학의 생동
6. 권위의 회복
제10장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한 교육의 근본적 재설계
1. 들어가는 말
2. 지속 가능한 사회
3. 교육의 근본적 재설계를 위한 전제조건들
4. 맺는말
제11장 한국교육의 발전 및 정체에 대한 교육철학적 성찰
1. 들어가는 말
2. 교육철학의 과제
3. 교육철학의 반성
4. 교육철학의 유용성
5. 맺는말
제12장 홀리즘에 대한 교육철학적 성찰
1. 들어가는 말
2. ‘전체’의 개념
3. 희망의 언어 홀리즘
4. 홀리즘의 철학
5. 홀리즘의 메타이론적 성격
제13장 홀리스틱 교육의 본질과 도전
1. 들어가는 말
2. ‘홀리스틱’이란 무엇인가
3. ‘홀리스틱’의 두 범례: 코메니우스와 헤르바르트
4. ‘홀리스틱’ 인식의 도전
5. ‘홀리스틱’ 방법의 도전
6. 맺는말
제14장 꿈과 끼를 살리는 새로운 학교교육문화
1. 들어가는 말
2. 학교교육문화의 역사적 전개에서 드러나는 홀리스틱의 역행들
3. 학교교육에 대한 근본적 반성 하나: 참된 학교는 시험 치지 않는다
4. 학교교육에 대한 근본적 반성 둘: 참된 교사는 가르치지 않는다
5. 학교교육에 대한 근본적 반성 셋: 교육은 존재의 예술이다
6. 맺는말
제15장 인성교육의 오래된 새로운 지평, 아동숲교육
1. 들어가는 말
2. 인성이란 무엇인가
3. 인성의 고전적 범례들
4. 인성교육의 특성
5. 아동숲교육의 원천 카일하우 숲 속의 학교
6. 인성교육의 오래된 새로운 지평
7. 교육의 대안이요 원천인 자연
8. 아동숲교육의 의미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