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관상언등록(譯官上言謄錄)>은 1637~1692년 사이에 '역관들의 상언'이라는 단일 주제로 묶인 문건들을 기록한 등록물이다. 17세기 조선의 문서 행정 처리과정, 당시 동아시아의 정세와 이에 대한 조선의 대응 방식, 그리고 역관들의 인사이동 및 처우 개선과 양성 대책, 기타 무역에 관한 결정 등이 담겨 있다.
목차
책머리에
제1부 『역관상언등록』 소개 0. 개관 1. 시대 배경 2. 역관의 세계 3. 상언과 등록 4. 서지학 정보
제2부 『역관상언등록』 번역 0. 번역 목적과 방법 1. 인조 시대 28건 2. 효종 시대 7건 3. 현종 시대 9건 4. 숙종 시대 21건
제3부 『역관상언등록』 이두 0. 이두 용례를 살펴보기 전에 1. 이두 용례
제4부 『역관상언등록』 분석
참고 자료
서가브라우징
덕수궁, 경희궁 실록으로 읽다2018 / 지음: 최동군 / 담디
조선의 무인은 어떻게 싸웠을까? : 무지와 오해로 얼룩진 사극 속 전통 무예2016 / 최형국 지음 / 인물과사상사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1, 사회·경제생활 이야기1996 / 한국역사연구회 지음 / 청년사
박열, 불온한 조선인 혁명가 : 일왕 부자 폭살을 꿈꾼 한 남자의 치열하고 뜨거운 삶과 사랑2017 / 지음: 안재성 / 인문서원
부자의 길, 이성계와 이방원2014 / 이덕일 지음 ; 권태균 사진 / 옥당
(世宗) 나는 조선이다 : 조선의 태평성대를 이룩한 대왕 세종2008 / 이한 지음 / 청아출판사
정희왕후2015 / 함영이 지음 / 말글빛냄
역관상언등록 연구 : 17세기 조선 외교사를 담당한 역관들의 생생한 기록2016 / 지음: 이현주 / 글항아리
그러나 이순신이 있었다 : 오늘을 위해 밝히는 역사의 진실2014 / 김태훈 지음 / 일상과이상
이순신 홀로 조선을 구하다 : 메이지 일본, 이순신을 신으로 받들다2019 / 지음: 사토 데쓰타로, 세키코세이, 오가사와라 나가나리 ; 옮김: 김해경 / 가갸날
처음 읽는 정유재란 15972019 / 외 지음: 허남린 ; 엮음: 국립진주박물관 / 푸른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