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서론 : 전기 신부(electric bride)
1부 과학적 민족주의와 근대 여성
제1장 민족 식물학과 꽃이야기
1. 식물학의 열풍과 조선 여성
2. 꽃의 도상(icon), 근대성과 민족주의
3. 과학과 신화: 꽃 속의 숨은 전설, 과학의 로맨스화
4. ‘화물어(花物語)’와 여학생 교육
제2장 인조인간의 출현과 근대 SF문학의 테크노크라시
1. ‘자미있는 과학’과 문학
2. 로봇의 도상, 인조인간의 계급·젠더 정치학
3. 자본주의의 붕괴, 『인조노동자』의 ‘미래’
4. 상호부조론과 에너지 스테이트(Energy State)의 기획
5. 이상적인 진화의 방향
2부 성과학
제1장 사춘기의 생리학과 감수성의 정치학
1. ‘소녀소설’과 감정교육
2. 사춘기와 성위생학
3. 소녀공동체의 판타지
4. 동성애, 변태성욕
5. 성교육 캠페인과 ‘가정생물학’
제2장 여성 성욕과 히스테리, 성생리학
1. 히스테리화된 육체
2. 과학과 미신 사이, 비과학적 여성성의 악마화
3. 월경(月經) 주기의 문화정치학과 여성 범죄
4. 에로 위생학, 성욕학
3부 가정 과학
제1장 가정경제학과 가사기술
1. ‘신가정’의 도상과 과학적 교양의 이데올로기
2. 개혁의 과학, 가정경제학의 도덕성, 표준화
3. 백과사전적 주부상식과 가정의 ‘전화(電化) 시대’
4. 건축학과 가정학, 가사전문가의 등장
제2장 위생학과 출산·양육의 테크놀로지
1. 위생국가에 존속하는 불량배들
2. 여성보건의 정치성, 사랑의 과학
3. 산과학(産科學)과 육아법
4. 우성인간의 생산과 열성인간의 절멸론: 우생학, 산아제한과 피임법
4부 미 과학
제1장 미의 산업과 미용 테크노크라시
1. 미인 대회
2. 미인계산법
3. 미용체조와 과학적 관리
4. ‘비너스 머쉰’, 그리고 성형수술
제2장 모던한 신체 미학과 해부학적 시선
1. 스피드 시대, 유선형(流線型) 시대
2. 곡선미, 각선미, 세분화되는 미의 초점
3. 관상학과 골상학, 인상의 지형학
4. 얼굴의 심리학, 표정연구
5. 화장품 과학, 얼굴의 가면성
5부 전쟁 과학
제1장 방공(防空) 과학, 보살핌의 과학
1. 이미지의 전쟁, 무기의 과학
2. 방공훈련과 방독마스크의 도상
3. 전파과학, 라디오의 정치성
4. 간호의 과학, 조선의 ‘나이팅게일’
제2장 총후여성(銃後女性)과 대용품 공학, 영양학
1. 대용품시대
2. ‘부엌 신체제’, 황도영양학(皇道營養學)이 한 거짓말들
3. ‘가정에서 가두로!’, 직업여성의 과학적 해부
4. ‘가정으로 돌아가라!’라는 정언명령, 그리고 여자의 ‘미래’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