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글을 시작하며
․ 도산은 누구인가
민족혁명의 영수 | 한국의 ‘에이브러햄 링컨’ | 일그러진 도산의 초상
․ 서북의 평민으로 태어나다
타고난 평민의식 | 민노아학당에 들어가다
세상에 이름을 알린, 쾌재정 연설 | 점진학교 설립
․ 미국에서 공립협회를 세우다
9인의 한인친목회 | 한인의 자치기관, 공립협회
․ 신민회와 해외 독립군 기지 개척
5년 만의 귀국, 신민회 창립 | 김형제상회와 사람들
평양의 대성학교 | 청년학우회 설립 | 해외 독립군 기지 개척의 구상
․ 거국가를 남기고 해외로 망명하다
이토와의 면담 | 거국가를 남기다
청도회의와 해삼위회의 | 독립군 기지를 물색하다
․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를 일으키다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 | 하와이와 멕시코 순방
3·1운동과 미주 한인들이 해야 할 일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체계를 세우다
독립운동의 방침 | 임시정부의 통합을 주도하다 | 연통제 시행
교통국과 지방선전부 | 독립전쟁을 선포하다 | 미국 의원단 방한과 의열투쟁
․ 국민대표회의를 주창하다
분란에 휩싸이는 임시정부 | 아동포에게 고함 | 창조파와 개조파
․ 민족대당운동을 주창하다
공산주의자로 의심받다 | 삼일당 연설회와 민족대당촉성운동
만주의 민족유일당운동을 점화하다
․ 한국독립당과 대공주의의 진실
한국독립당의 창당 | 「한국독립당 당의의 이론체계 초안」
도산주의의 계승자, 차리석 | 대공주의의 논리
대공주의는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 흥사단, 그리고 이상촌운동
1913년 흥사단을 세우다 | 흥사단 원동임시위원부 설립
흥사단의 입단문답 | 동명학원 설립 | 이상촌을 물색하다
필리핀에 가다
․ 피체와 순국, 무엇을 남겼는가
윤봉길 의거와 피체 | 국사적 풍모
영면하다 | 도산은 무엇을 남겼는가
․ 김승학의 삶과 자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