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에 들어선 한국 사회가 ‘함께 행복한 공동체’가 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당연히 법률, 사회의식, 문화, 교육 등의 대책도 필요하지만, 무엇보다 이 모든 것의 바탕이 되는 철학적 성찰이 필요하다.
목차
머리말
한국의 다문화사회를 위한 철학적 성찰 1. 한국은 다문화사회인가? 2. 왜 다문화주의 철학이 필요한가? 3. 다문화주의와 유사한 분야의 개념들 4. 다문화적 삶을 위한 이론적 갈래들 - 다문화주의와 상호문화주의 5. 다문화주의 이론의 분류 -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6. 다문화주의 착상을 지닌 근대 독일 철학 - 헤겔과 낭만주의 7. 동양은 어떠한가? - 동아시아의 변화 8. 당면한 한국 현실을 정리하며 - 시급히 해결해야 할 소수 집단 문제
상호문화철학과 독일의 상호문화교육 1. 들어가는 말 2. 문제의 배경: 세계화 및 다문화사회 속에서의 타자와의 공존 3. 상호문화성: 세계화와 다문화사회를 바라보는 기본관점 4. 상호문화철학: 상호문화성에 입각한 철학의 재구성 5. 독일의 상호문화교육 6. 결론에 대신하여: 타자와의 공생을 위한 실천모델 - 듀이의 민주주의론을 중심으로
헤겔 철학에서 다문화주의 1. 다문화적 삶과 헤겔의 연관성 2. 헤겔 철학의 개인사적 배경 3. 헤겔의 형이상학적-인식론적 지평 4. 헤겔 역사철학에서 동양관 5. 동서양 문화의 등가치성 - 문화 상대성과 절대성의 공존
불교사상에 포함된 다문화주의적 요소 1. 다문화주의의 소개 2. 불교사상의 전개 3. 불교철학과 다문화주의 4. 결론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다문화 사회의 다층성 : 인종적 다양성을 둘러싼 정책적 편입과 배제 2019 / 지음: 원숙연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싸구려의 힘: 현대 세계를 만든 값싼 것들의 문화사2022 / 지음: 웬디 A. 월러슨; 옮김: 이종호 / 글항아리
뭔가 배 속에서 부글거리는 기분: 동시대 문화 탐구2022 / 지음: 윤아랑 / 민음사
교오양의 발견 : 이근철의 고품격 컬처 수다2018 / 이근철 지음 / 한국경제신문
문화란 무엇인가2021 / 지음: 테리 이글턴; 옮김: 이강선 / 문예
(이어령의)가위바위보 文明論2015 / 이어령 지음 / 마로니에북스
(단어 따라 어원 따라)세계 문화 산책2016 / 이재명, 정문훈 지음 / 미래의창
다문화 사회와 철학 : 한국사회의 다문화시대를 위한 철학적 성찰2017 / 이정은 ; 이병욱 ; 정창호 공저 / 자유문고
차별의 언어 : 무심코 쓰는 일상 언어로 본 우리 사회의 차별 의식2018 / 장한업 지음 / 아날로그
문화적 맑스주의와 제임슨 : 세계 지성 16인과의 대화2014 / 지은이: 프레드릭 제임슨 ; 옮긴이: 신현욱 / 창비
폭염의 시대 : 십대들을 위한 기후변화의 사회학 2020 / 지음: 주수원 / 맘에드림
신한류 : 소셜 미디어 시대의 초국가적 문화 권력2017 / 진달용 지음 ; 나보라 옮김 / 한울아카데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