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38회 외솔상 수상자, 김슬옹 박사의 한글 민족주의와 한글 보편주의에 대한 명쾌하고도 치열한 담론. 우리 역사에서 한글 혁명이 일어난 동기와 과정이 모두 담겨 있다. 이 책은 하늘과 땅과 사람, 곧 천지인 3부로 구성하였다
목차
추킴 글│한글 혁명에 담긴 고귀한 뜻과 길 / 권재일[한글학회 회장]
책을 펴내며│왜 한글 혁명인가?
여는 글 우리가 알아야 할 한글 이야기
1. 한글에 대한 오해
2. 한글 창제 이야기
3. 과학적 문자, 훈민정음
4. 한글 변천사
5. 한글 보편성, 나눔의 길
1부 한글 혁명은 준비된 혁명이었다
세종 단독 창제의 역사적 의미
세종대왕은 한글(훈민정음)을 왜 만들었나?
최만리 외 6인의 언문 반포 반대 갑자 상소의 진실
정음 혁명서 《훈민정음》 해례본과 언해본
훈민정음 반포 으뜸 공로자 보한재 신숙주 선생 나신 600돌 의미
2부 한글 혁명은 진행 중인 혁명이다
한글 발전의 역사적 의미
한글 전용의 험난한 역사가 주는 의미와 더 풀어야 할 문제들
한글을 통한 지식 소통의 선구자, 헐버트
한글은 고종의 국문 칙령에 의해 공식문자가 되었다는 주장의 잘못
국한문 혼용 역사의 진실[번역]
1월 15일은 북한의 조선글날, 《훈민정음》 해례본 복간본을 북한에 기증하자
아래아한글은 왜 제2의 한글 창제였나?
남북(북남) 연합 이극로 학술제를 열자
한글과 문학의 위대한 만남과 알파고 시대의 한글 문학
간송 전형필과 《훈민정음》 해례본
한글, 주류 문자로서의 역사
한글을 거부한 실학자들
외솔의 한글운동은 정음운동이다
〈누구나 알아야 할 한글 이야기〉 탄생 뒷이야기
찌아찌아어 한글 사용의 진실[번역]
3부 한글 혁명은 함께 이뤄야 할 혁명이다
세계가 인정하는 한글의 ‘정음’과 ‘훈민’의 꿈
한글 이름 짓기 혁명
잘못된 한문 지방을 한글 지방으로
대한민국, ‘한글학’이 필요하다
옛한글 아래아(·) 명칭을 ‘하늘아’로 고치자
‘ㄱ, ㄷ, ㅅ’ 이름 서둘러 바꾸자
한글의 힘, 한글의 미래
분단 시대 통일 말글 운동: 겨레 말글 공동 사전 편찬
우리말 총칭어 제안: ‘한말글’
훈민정음 창제 기념일을 12월 28일로 하자
외래어 표기법과 한글 우수성의 갈등 문제
한글청을 설립하자
아이돌 스타들에게 한글옷을 입게 하자
한글 그림 로봇 자음이와 모음이, 한글옷으로 날다
신나는 문자 나눔의 길, 한글 세계화
세종의 꿈을 붓으로 살려 낸 월인천강지곡체 《훈민정음》 언해본과 '한글로 세계로' 이야기
4차 산업혁명, 알파고 시대의 한글
참고 문헌
부록 1│2013년 한글날 맞이 문화체육관광부 설문조사 결과
부록 2│8회 외솔상 문화(학술) 부문 수상 소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