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는 연대영역이 공공영역과 함께 시민사회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자 요소라는 점을 지적하고 군사정권이 붕괴된 지 20년이 더 지난 오늘날에도 여전히 한국사회에서는 공공영역과 연대영역에 대한 억압이 사라지지 않고 있을 뿐 아니라 최근에 와서는 더욱 강화되는 조짐조차 보이고 있다고 진단한다.
목차
저자의 말
제1장 들어가는 글 - 왜 연대영역인가?
제2장 연대의 개념과 사상 1. 연대관념과 연대정신 2. 연대의 개념과 유형 3. 서구 연대사상의 세 전통 4. 한국의 연대정신과 관념 5. 연대정신의 발전과 새로운 연대주의
제3장 한국사회 연대영역의 형성과 식민제국의 억압 1. 조선시대의 전통적인 협력과 상호부조 문화 2. 근대적 연대영역의 형성과 식민제국의 억압
제4장 한국사회 연대영역의 제도화와 국민국가의 억압 1. 해방 직후 연대영역의 제도화 2. 군사정권과 연대영역 억압구조의 형성
제5장 군사정권 이후 한국사회 연대영역의 구조 변화 1. 군사정권 후속 세 민간인 정부와 연대영역 억압구조의 개선 및 활성화구조의 제도화 2. 민주화 정부 후속 두 정부와 연대영역 억압구조의 재강화 및 시장 영향력의 강화
제6장 전망과 과제 - 연대의 억압과 시장화를 넘어 1. 1987년 체제의 한국사회 연대영역의 구조 변화 2. 연대의 억압과 시장화를 넘어 촛불로 - 2016년 11월 시민항쟁과 촛불연대 3. 연대영역의 구조 변화에 대한 전망과 과제
Q&A 연대, 연대영역, 시대변화 1. 연대 2. 연대영역 3. 시대변화와 연대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복종에 반대한다: 누구에게도 지배받지 않는 온전한 삶을 위해2018 / 지음: 아르노 그륀; 옮김: 김현정 / 더숲
근시사회 : 내일을 팔아 오늘을 사는 충동인류의 미래2016 / 폴 로버츠 지음 ; 김선영 옮김 / 민음사
사피엔스의 마음2017 / 지은이: 안희경 / 위즈덤하우스미디어그룹
천사들은 우리 옆집에 산다 : 사회적 트라우마의 치유를 위하여2015 / 정혜신, 진은영 [공]지음 / 창비
떠날 것인가, 남을 것인가 : 퇴보하는 기업, 조직, 국가에 대한 반응2016 / 앨버트 O. 허시먼 지음 ; 강명구 옮김 / 나무연필
나를 변화시킨 사람들 내가 변화시킬 사람들2014 / 팻 윌리엄스, 짐 데니 [공]지음 ; 김정우 옮김 / 말글빛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