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문명과 가치 총서 18권. 한국 사원의 특성을 인도와 중국 그리고 동남아시아의 사원과 비교하고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인도, 중국, 동남아시아의 사원이 어떻게 생겨나고 발전했는지 문화사적 의의를 정리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총론
인도 불교 승원의 기원과 전개 / 조준호
1. 머리말
2. 사원과 승원 출현의 배경
3. 사원과 승원의 성립과 전개
4. 산림수행처의 기원과 전개
동남아시아의 불교와 사원 / 황순일
1. 머리말
2. 동남아시아 불교의 다양성
3. 동남아시아 불교의 역동성
4. 동남아시아 불교 사원의 특성
5. 동남아시아 불교 사원의 다양성
6. 동남아시아 불교 사원의 문화적 의의
7. 맺음말
중국의 불교와 사원문화 / 김영진
1. 머리말
2. 중국의 불교 수용
3. 중국 불교의 진전과 사원
4. 중국 사원의 문화적 의의
5. 맺음말
한국 고대·중세 사원의 역사-존재 양상과 그 의미 / 이강한
1. 머리말
2. 한국 구대(신라·백제)의 사원
3. 고려시대의 사원
4. 맺음말
조선시대 전통 사원의 운영과 문화적 의의 / 정병삼
1. 머리말
2. 신라와 고려의 사원
3. 조선 전기 사원의 변천
4. 조선 후기 사원의 활성화
5. 조선시대 전통 사원의 문화적 의의
6.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