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화보
서문
축사 / 김승수·김명지·임양원·심영배
제1장 마을역사
1. 마을 형성
2. 마을 연혁
제2장 자연-인문환경
1. 자연환경
2. 인문환경
3. 자연-인문환경과 기접놀이
제3장 주민구성
제4장 생업과 기접놀이
제5장 세시풍속과 기접놀이
1. 세시풍속
2. 각 마을별 세시풍속
3. 마을-연합 세시풍속
제6장 두레와 기접놀이
1. 두레
2. 계룡리 두레
3. 계룡리합굿/전주기접놀이
제7장 기접놀이의 역사
1. 기원
2. 조선 중기: 기접놀이의 형성
3. 조선후기
4. 일제강점기
5. 해방기~1950년대
6. 1960~1970년대
7. 1980~1990년대
8. 2000~2010년대
제8장 기접놀이의 시간과 장소
1. 마을별 대동굿: ‘장원례’․‘술멕이’ 행사
2. 마을-연합 대동굿: ‘계룡리합굿/전주기접놀이’ 행사
제9장 기접놀이 참여자들
1. 좌상
2. 공원
3. 총각좌상
4. 큰기수/용기수
5. 영기수
6. 나발수
7. 쇠잽이
8. 징수
9. 장고잽이
10. 북수
11. 소고잽이
12. 잡색
13. 화가
14. 영선
15. 마을주민들
제10장 기접놀이 주요 구성요소들
1. 기, 기놀이
2. 풍물, 풍물굿/농악
3. 민요, 논일노래
제11장 전통형 기접놀이의 공연절차와 방법
1. 마을굿: 마을별 대동굿-‘장원례’와 ‘술멕이’
2. 고을굿: 마을-연합 대동굿 ‘계룡리합굿/기접놀이’
제12장 무대형 기접놀이의 공연절차와 방법
1. 제1과장: ‘만두레’, ‘장원례’, ‘술멕이’
2. 제2과장: ‘각종 기놀이’
3. 제3과장: ‘계룡합굿’
제13장 기접놀이의 경제적 기반과 그 변화
제14장 기접놀이의 문화사적 의의, 비전
부록
Summary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