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 사학과 교수인 강판권이 조선시대 지식인들이 남긴 나무에 관한 시와 문집 등을 들여다보고, 그들이 살던 공간에 아직 머물고 있는 나무들을 직접 찾아간 기록이다. 이를 통해 조선 지식인들이 어떻게 나무로 자신의 성품을 가꾸고 학문을 실천했는지를 들여다본다.
목차
ㅣ머리말ㅣ 나무가 이루어준 고금古今 성리학자의 조우
제1부 한 해의 시작을 알리는 봄나무에게 선비정신을 배우다 끊임없이 피고 지는 매화의 지속성ㆍ남명 조식의 매실나무 여행으로 지친 나그네를 위로하는 나무ㆍ장유와 산수유·수유 목련꽃으로 자신만의 문장을 표현하다ㆍ이건창과 목련 인정받지 못한 조선시대 최고의 역관ㆍ이상적과 살구나무 붉은 해당화처럼 자유롭고 싶었던 화가ㆍ장승업과 해당화
제2부 생기로 가득 찬 여름나무에게 지속성을 배우다 배롱나무와 함께 지킨 자식 된 도리ㆍ조임도와 배롱나무 조선시대 화가가 본 중국의 풍경ㆍ이계호와 포도나무 파직당한 뒤 회화나무 두 그루를 심다ㆍ조성한과 회화나무 남산에 구기자 보며 백성을 생각하다ㆍ조팽년과 구기자나무 형제의 우애를 위해 나무를 심다ㆍ신흠과 박태기나무
제3부 바람을 견딘 가을나무에게 스스로 서는 법을 배우다 버드나무에게 배운 정신력으로 나라를 지키다ㆍ곽종석과 버드나무 요절한 학자가 남긴 나무 한 그루ㆍ서해와 은행나무 일상문화의 가치를 알아본 농업전문의ㆍ서유구와 단풍나무 자신의 세계를 구축하는 학자의 의지ㆍ조덕린과 오동나무 조선시대 최고의 식물전문가ㆍ강희안과 석류나무 부모를 향한 마음을 붉은 홍시에 담다ㆍ박인로와 감나무
제4부 변함없이 고고한 겨울나무에게 지조를 배우다 스님의 곧은 도를 상징하는 나무ㆍ지엄스님과 소나무 선비들이 추구하는 맑은 정신의 상징ㆍ이광진과 백송 저렇게 사시에 푸르니, 그를 좋아하노라ㆍ윤선도와 대나무 차나무의 강직함을 닮으려던 성리학자ㆍ김종직과 차나무 세상 모든 일은 힘쓰는 데 달렸다ㆍ김득신과 잣나무
ㅣ참고문헌ㅣ
서가브라우징
조선정치사의 발견 : 조선의 정치지형과 문명전환의 위기2013 / 강상규 지음 / 창비
조선왕들의 생로병사 : 역대 27대 왕들의 생로병사를 통해 조선을 바라본다2009 / 강영민 지음 / 이가출판사
조선왕들의 생로병사 : 역대 27대 왕들의 생로병사를 통해 조선을 바라본다2009 / 강영민 지음 / 이가출판사
16세기 : 성리학 유토피아2014 / 강응천 ; 권소현 ; 송옹섭 지음 / 민음사
16세기 : 성리학 유토피아2014 / 강응천 ; 권소현 ; 송옹섭 지음 / 민음사
조선통신사의 일본견문록2005 / 강재언 지음 ; 이규수 옮김 / 한길사
만남의 제도화, 조선시대 조정 의례2017 / 지음: 강제훈 / 민속원
나무를 품은 선비 : 사계절 나무에 담긴 조선 지식인의 삶2017 / 지음: 강판권 / 위즈덤하우스
조선을 구한 신목, 소나무2013 / 강판권 지음 / 문학동네
조선을 구한 신목, 소나무2013 / 강판권 지음 / 문학동네
우리가 아는 선비는 없다 : 조선을 지배한 엘리트, 선비의 두 얼굴2011 / 계승범 지음 / 위즈덤하우스
우리가 아는 선비는 없다 : 조선을 지배한 엘리트, 선비의 두 얼굴2011 / 계승범 지음 / 위즈덤하우스
고문서에 담긴 조선의 일상2022 / 지음: 노인환...[외]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민란의 시대:조선시대의 민란과 변란들2000 / 고성훈 외 지음 / 가람기획
19세기 조선의 향촌사회연구1999 / 고석규 저 / 서울대학교출판부
같이 빌린 책
알토 색소폰 교본 = Primary school of saxophone2009 / 다라 음악 연구회 편 / 다라
색소폰의 달인이 되기 위한 100가지 팁!2009 / 후지타 준조우 저 / 삼호ETM
같은 주제의 책
이이화 한국사 이야기. 22, 빼앗긴 들에 부는 근대화 바람2016 / 이이화 지음 / 한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