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서울에서 살아가는 나무 이야기다. 제호의 첫 머리에 등장하는 ‘서울’은 ‘나무’와 함께 책의 큰 축이다. 서울의 흔한 길과 그 길이 지나는 동네, 서울을 숨 쉬게 하는 크고 작은 공원, 서울이라는 메트로폴리스에 역사성과 균형감을 선사하는 조선의 궁궐까지 서울의 근간을 이루는 공간이 주 무대다.
목차
나무는 살아있다, 당신이 살아있듯
길가 사는 나무
아름다움을 주고 멸시를 받다 - 화동 북촌로5길 │벚나무│
앞선다고 멀리 가랴 - 삼청동 북촌로5길 │칡·오동나무│
이제야 보이나요 - 소격동 삼청로 │비술나무│
흰 나무, 검은 나무, 잿빛 꽃 - 재동 북촌로 │백송·독일가문비나무│
붉은 집의 푸른 외투 - 원서동 율곡로 │담쟁이│
느티나무는 다 기억한다 - 신문로2가 새문안로 │느티나무│
개나리 진 날, 봄도 져버렸다 - 송월동 송월로 │개나리│
얼룩덜룩하다고 떨쳐버릴 텐가 - 용산동 이태원로 │양버즘나무│
봉황은 왜 벽오동에 깃드는가 - 동숭동 동숭길 │벽오동│
공원 사는 나무
나 하늘로 돌아갈래 - 낙산공원 │가죽나무│
소리 없는 종소리 - 삼청공원 │때죽나무│
높은 넋을 기려 - 선유도공원·서대문독립공원 │양버들│
제가 뭘 잘못했죠 - 안산공원 │아까시나무│
망토를 메고 롤러를 타자 - 여의도공원 │피나무│
어떤 이름이 더 어울려요 - 마로니에공원 │가시칠엽수│
세월이 다 해명한다 - 삼청공원 │귀룽나무│
호숫가의 하늘가 나무 - 호수공원 │구상나무│
이제 그만 떠나련다 - 남산공원 │소나무│
궁궐 사는 나무
봄은 성대하게, 가을은 찬란하게 - 경복궁 │꽃개오동·화살나무│
낭창거리는 앞뜰 - 경복궁 │말채나무│
나무는 봄마다 회춘한다 - 창덕궁 │회화나무│
그리움, 나날이 익어감 - 창덕궁 │감나무│
으쓱한 어깨, 들썩한 궁둥이 - 창경궁 │느릅나무│
우리 결혼했어요 - 창경궁 │혼인목│
가까이 오지 마시오 - 덕수궁 │주엽나무│
나도 엮이기 싫었다고요 - 덕수궁 │등나무│
선홍빛 기억, 꽃으로 피어나고 - 동묘 │배롱나무│
신들의 정원, 민초의 나무 - 종묘 │물박달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