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위대한 불교주석가인 붓다고사가 5세기경에 쓴 주석서 <청정도론>에서 말하는 사무량심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쓰여진 책이다. 사무량심은 우리 마음의 고귀한 특질이자 신성한 마음상태인 자애와 연민, 함께 기뻐함과 평등심으로, 우리가 이러한 소망을 채울 수 있도록 인도한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역자 서문
한국 독자를 위한 저자 서문
저자 서문
제1장 서문
왜 수련을 하는가
윤리의 토대
직관적인 지혜의 확인
연꽃 속의 보석에 대한 명상: 옴마니반메훔
질의응답: 계율과 수련순서에 관해
제2장 사마타 수련 시작
명상을 시작하기
이완, 안정감 그리고 생생함
질의응답: 호흡 알아차림에 관하여
주의의 숙달: 마음챙김과 내성
심리적 사건의 촉매제로서 사마타
사마타 수련의 문제 다루기
제3장 사마타로 가는 길: 개관
사마타로 가는 아홉 단계
사마타의 성취
사마타의 성취의 선결요건
사마타수련의 다섯 가지 방해물
다섯 가지 안정요소
사마타 수련에서 대상 선택
질의응답: 사마타 성취에 관해
사마타 너머
제4장 자애
명상: 자신을 위한 자애
자애수련의 확장
자애수련에서 일반인을 다루는 것의 이점
미운 대상에 대한 자애심
도덕적으로 정당한 분노의 문제
괴로움의 원천에 대한 반응으로서 열정과 인내
자애심 북돋우기
집착과 자애심의 혼동
질의응답: 적과 통찰
자애심에서 사마타의 달성
제5장 연민심
질의응답: 카타르시스, 논리, 연민
고통받는 사람을 위한 연민: 명상
연민심을 위한 명상의 확장
연민수련에서 침투성
연민의 화신인 관음보살에 대한 명상
제6장 동락심
타인의 행복에 동참하기
선행을 기뻐함
제7장 평정심
상좌부 불교에서 평정심
티베트 불교에서 평정심
질의응답: 집착과 애정을 구분하기
제8장 통찰의 힘
통찰에서 궁극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으로
질의응답: 영적 깨달음의 시급함과 희귀함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