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전통연희 시리즈’를 출간하며
제1부_전통연희의 전승과 전망
제1장 나례의 오락적 변모 양상과 연극사적 의의
1. 머리말
2. 나례의 오락적 변모 양상
3. 연극사적 의의
4. 맺음말
제2장 산대탈의 전승 현황과 완보/말뚝이의 변천 양상
1. 머리말
2. 서울대 박물관 소장 산대탈의 전승 현황
3. 목중/완보/말뚝이 탈의 전승과 착종 양상
4. 완보의 역할 전이와 말뚝이의 재창조
5. ‘중놀이’에서 ‘양반놀이’의 중심 이동
6. 맺음말
제3장 한국연극의 話劇的 전통 고찰
1. 머리말
2. 공연방식
3. 희곡적 특성
4. 화극적(話劇的) 전통의 형성
5. 맺음말
제4장 소학지희(笑謔之戱)/배우희(俳優戱) 연구의 쟁점과 전망
1. 머리말
2. 용어와 범주
3. 양식적 특성
4. 연희사적 전개
5. 통합적 전망
6. 맺음말
제5장 전통연희의 미학과 원리 연구의 동향과 전망
1. 머리말
2. 연구사 검토를 진행한 선행 연구의 양상
3. 1995년 이후 미학과 원리 연구의 동향
4. 전통연희의 미학과 원리 연구의 성과와 전망
5. 맺음말
제2부_근대극의 성립과 근대적 변화 양상
제1장 개화기 한국연극의 근대적 발전 양상 연구
1. 서론
2. 공연 공간의 변모와 극장의 발전
3. 공연의 재정적 기반과 공연 종목의 특성
4. 공연 텍스트의 서사성과 재현성
5. 결론
제2장 근대극의 성립과 해체 과정에 나타난 공동체 문화의 위상
1. 머리말
2. 연극 공연과 공동체 문화의 관계
3. 근대극의 성립 과정과 판소리 개량의 의미
4. 근대극의 해체 과정과 탈춤 재창조의 의미
5. 맺음말: 연극사의 추이와 공동체 문화의 위상
제3장 김우진론: 자유의지와 인과율의 문제
1. 머리말
2. 자유의지와 인과율
3. 시대의식과 역사의식
4. 맺음말
제4장 직관과 통찰의 연극사 입문서, 권택무의 『조선민간극』
1. 권택무의 저술 활동
2. 연극사 입문서의 위상
3. 혼합예술과 극희예술의 연극 기원
4. 갈등과 대사 중심의 연극 개념
5. 가면극, 인형극, 극의 연극 갈래
6. 인민 생활의 현실적인 조건과 연극 발전
부록
1. 「왕조열전(王朝列傳)」의 文學的 性格과 史的 位相
1. 서언
2. 서지사항과 창작배경
3. 구조와 표현의 특성
4. 문학사적 위상
5. 결어
2. 『정수정전』 이본의 계통 및 변모 양상
1. 머리말
2. 이본의 순차 단락 비교
3. 이본의 계통 관계
4. 이본의 변모 양상과 그 의미
5. 맺음말
3. 구비문학 연구동향
1. 머리말
2. 분야별 연구성과 개관
3. 맺음말
4. 時調에 있어서 ‘人生’의 표출양상
1. 머리말
2. 자연의 비유와 대비
3. 늙음과 죽음의 표현
4. 삶의 태도와 진술방식
5. 마무리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