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제1장 6·25전쟁은 무엇을 남겼는가·
1. 참혹한 전쟁 피해
2. 남북한의 극한 대립 초래
북한에 미친 영향
대한민국에 미친 영향
3. 국제사회에 미친 영향
미·소 대립과 냉전의 고착화
중국의 급부상과 타이완의 안전보장
일본의 경제 도약과 재무장
제2장 6·25전쟁은 어떻게 일어났는가?
1. 전쟁의 근원이 된 남북 분단
38도선 분할
북한의 소비에트 정권 수립
미 군정과 대한민국 정부 수립
2. 미국의 한국 지원과 소련의 북한 지원
미국 극동방위선 밖의 대한민국
미국의 한국 군사원조와 주한미군 철수
소련의 팽창정책과 북한군 전력증강 지원
3. 남침 음모: 북한·소련·중국의 남침 결정
김일성의 무력남침 제의와 스탈린의 반대
마오쩌둥의 지원 약속과 조선인 중공군의 북한군 편입
스탈린과 마오쩌둥의 남침계획 승인과 전쟁지원 보장
소련의 북한군 증강 지원과 남침계획 수립
제3장 북한의 남침과 유엔군의 참전
1. 암호명 ‘폭풍’: 북한군의 6·25 기습 남침공격
2. 국군의 초기 방어와 서울 함락
지상군 및 해·공군과 경찰의 대응
옹진반도와 개성-문산 지역 방어
동두천·포천·의정부 지역 방어
춘천·홍천 지역 방어
동해안 지역 방어
서울 방어와 북한군의 서울 점령
3. 유엔군의 참전과 낙동강까지 지연전
미국과 유엔의 참전 결정
국군의 한강선 방어
맥아더의 한강 방어선 시찰과 미 지상군 참전
유엔군사령부 창설과 국군의 재편성
미군 최초의 죽미령 전투와 서부전선의 지연전
중동부 전선의 지연전
동해안 지역의 지연전
서남부 지역의 지연전
4. 최후의 보루 낙동강 방어선의 공방전
정부의 전시 조치와 국가 총력전 전개
낙동강 방어선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대구를 향한 북한군 총공세: 다부동-왜관 전투
북한군의 우회기동과 마산-부산 압박
최대의 위기 영천-포항 피탈과 재탈환
5. 인천상륙작전과 38도선 이북으로 진격
인천상륙작전의 최종 논쟁
상륙부대 편성과 상륙작전 실시
9·28 수도 서울 탈환과 정부의 환도
유엔의 북진 결정과 전쟁 목표의 확대
이승만의 38도선 돌파 명령
맥아더의 유엔군 북진 명령
평양·원산 탈환작전
북한군의 함흥 대학살
제4장 중국의 개입과 새로운 전쟁
1. 중공군의 참전과 유엔군의 철수
중국의 참전 결정과 한반도 침입
유엔군의 추수감사절 공격과 중공군의 제1차 공세
중공군의 제2차 공세 준비
유엔군의 크리스마스 공세와 중공군의 반격
장진호 전투
흥남 철수작전
중·조 연합군의 제3차 공세와 1·4 후퇴
2. 유엔군의 새로운 전략 모색
전쟁 목표의 재변경
유엔의 휴전 제의와 공산 측의 거부
한국에서 철수할 것인가
한국 정부 제주도 이전 계획
3. 유엔군의 재반격과 전선 교착
유엔군의 위력수색과 한강선 진출
중공군의 제4차 공세와 횡성·지평리 전투
서울 재탈환과 38도선으로 진격
유엔의 신전략과 맥아더의 해임 결정
국군과 유엔군의 38도선 확보 작전
공산군의 춘계공세 좌절과 전선 교착
제5장 휴전 - 끝나지 않은 전쟁
1. 휴전의 조건과 고지 쟁탈전
휴전의 모색과 회담 의제의 채택
스탈린의 휴전회담 전략과 개성 문제
고지 쟁탈전: 해안분지, 피의 능선, 단장의 능선 확보작전
지리산 공비토벌작전
휴전협상의 최대 걸림돌 포로교환 협상
공산군의 지하요새 구축과 전력 보강
전초진지 쟁탈전: 벙커·백마고지, 저격·지형능선 전투
유엔 해·공군의 공산군 압박 작전
2. 국제정세의 변화와 이승만의 휴전 반대
상병포로교환과 포로교환협정 합의
반공포로 석방과 한·미 회담
중공군의 최후 공세 전략과 금성지구 전투
3. 정전협정과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정전협정 체결과 정전체제의 구축
비무장지대 설치와 정전관리기구 구성
포로 송환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제네바 정치회담의 결렬
맺음말
6·25전쟁 연표
참고 문헌
부록
1. 남·북한군 전력 비교(1950. 6. 25)
2. 유엔 참전국 현황(전투부대 / 의료지원부대)
3. 유엔 물자지원국(1950. 7~1956. 6)
4. 아군 및 적군 인명 피해 현황
5. 국군 및 유엔군 주요 작전
6. 국군 주요 부대 및 지휘관
7. 미군 참전부대 현황
8. 공산군 전력 현황(북한군·중공군·소련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