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는 미.중 패권경쟁 구도 속에서 한국의 외교가 딜레마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국가 대전략이 있어야 함을 주장한다. 대전략은 정권차원을 뛰어넘어서 일관성과 지속성이 유지될 수 있는 대원칙을 의미한다.
목차
제1부 | 전략 제1장 중견국 외교전략 제2장 중추적 중견국 외교 1. 중견국 외교 2. 중추적 중견국 외교 제3장 미·중 사이 한국의 스마트 외교 1. 미·중 경쟁 구도의 심화와 한반도 주변 국제정세 2. 미·중 사이 한국의 스마트 외교 3. 사드(THAAD)와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4. 눈치외교를 넘어 스마트 외교로 제4장 소프트 파워 외교 1. 스마트 외교의 영역 2. 소프트 파워 3. 공공외교 4. 대한민국의 소프트 파워 외교
제2부 | 이론 제1장 동맹전이이론과 중추적 중견국 1. 세력전이 연구프로그램 2. 세력전이이론 3. 동맹전이이론 4. 동맹전이와 중추적 중견국 5. 동아시아 세력전이 시나리오 제2장 중견국 개념의 발전 1. 아퀴나스, 바르톨루스, 보테로, 마블리 2. 클라우제비츠, 린드너, 가게른 3. 국가 등급 매기기 4. 전통적 중견국 캐나다, 호주 5. 1960년대 이후 중견국 개념 제3장 중견국 외교론 1. 홀브라드의 중견국 외교 2. 쿠퍼·히곳·노설의 중견국 외교 3. 레이븐힐의 중견국 외교 4. 조르단의 전통적 중견국 vs 신흥중견국 5. 중추적 중견국 외교 제4장 중견국 리스트 1. 강대국 리스트 2. 중견국 리스트 제5장 인간안보 이니셔티브 1. 인간안보 개념 2. 인간안보 이니셔티브 3. 인간안보와 중추적 중견국
에필로그 대가(大家)와의 가상적 꿈속의 대화
▨ 참고문헌 ▨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한반도 주변정세와 남북한2010 / 김강녕 지음 / 신지서원
북한의 외교정책과 대외관계 : 협상과 도전의 전략적 선택2012 / 김계동 지음 / 명인문화사
우리, 평화를 말해요: 노벨 평화상 수상자가 들려주는 평화의 메시지2020 / 글: 앨리 윈터; 그림: 미카엘 엘 파티; 옮김: 박원영 / 찰리북
전환시대의 논리 : 리영희 평론집2018 / 리영희 지음 / 창비
G2 시대 중국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 한중관계의 오늘과 내일2014 /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지음 / 서해문집
중국의 선택 : [이북 E-book] (The) Choice of China : peaceful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of a harmonious world : 평화발전과 조화세계의 건설 2014 / 지음: 리징즈, 푸핑 ; 옮김: 김도훈 / 경혜
바이마르의 세기 : 독일 망명자들과 냉전의 이데올로기적 토대 2018 / 지음: 우디 그린버그 ;, 옮김: 이재욱 / 회화나무,
빙하는 움직인다 : 비핵화와 통일외교의 현장2016 / 지음: 송민순 / 창비
워싱턴에서는 한국이 보이지 않는다 : 21세기 새로운 국가 대전략2016 / 최중경 지음 / 한국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