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인가? 이 질문마저 사치스럽게 들리는 지금,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장 근본적인 질문을 던져야 할 때다. 선취했다고 믿었던 민주주의의 기본 원리가, 민주공화국의 핵심 가치인 법치와 공적 질서가 붕괴된 지금이야말로 민주공화국에 대한 물음이 필요하다.
목차
서문 | 공화국의 참뜻에 대한 성찰을 위하여 / 김상봉
길에서 민주공화국을 묻다 / 김종목·박광연·이유진·최민지·허진무 기자 돈이 지배하는 갑·을의 사회, 중세 신분제와 뭐가 다른가 / 황경상·최민지·허진무·박광연·이유진 기자 “선출된 왕정을 최소한 원로원 체제로 가져가야” / 김상봉[전남대 철학과 교수] “부자·재벌·시장·기업·보수만을 대변하는 나라, 공화국이라고 할 수 없어” / 박명림[연세대 지역학 협동과정 교수] 여자라서 안 되고, 덜 받고…남녀, 같은 국민 맞습니까 / 이주영·김형규·심진용·이유진·허진무 기자 “민주공화국은 뻔뻔한 사람이 없는 사회” / 정희진[여성학자] 무능한 정치, 비겁한 판결… 법 위에 군림하는 ‘피고 대한민국’ / 장은교 기자 권력이 그 주인을 억압할 때, 국민은 ‘헌법 제1조’ 떠올렸다 / 황경상·최민지·허진무·박광연·이유진 기자 “우리의 삶을 우리가 결정해야 민주공화국” / 하승수[비례민주주의연대 공동대표] “공화국 시민이라면 빈부 격차를 부끄럽게 느껴야” / 최갑수[서울대 서양사학과 교수] 붕괴된 공동체, ‘각자도생’의 시대 / 이주영·장은교·김형규·박광연·최민지 기자 지배할 뿐 책임지지 않는 권력, 여기 시민의 자리는 없다 / 심진용·장은교·김형규 기자 “최순실 게이트는 대한민국이 사적 소유물이라는 점을 오롯이 드러낸다” / 홍세화[장발장은행장] “국정화는 한 해 먼저 터진 국정 농단 사건” / 김육훈[역사교육연구소장] “공화국은 사유물이 아니다” / 김종철[녹색평론 발행인] 시민이 개헌 주도한 아이슬란드… 이런 게 ‘주권자 권리’ / 김형규 기자 대한민국 하면? “야근이 떠올라요” / 장은교 기자 “경제 민주화 조항을 다시 쓰자” / 김상조[한성대 경제학과 교수] “우리가 말하는 ‘공화국’은 젠더 중립적이지 않아” / 권명아[동아대 국문과 교수]
서가브라우징
청년이여, 정당으로 쳐들어가라! : '정치 사랑' 외에 탈출구는 없다 : 더 나은 세상을 위하여2015 / 지음: 강준만 / 인물과사상사
권력은 사람의 뇌를 바꾼다 2020 / 지음: 강준만 / 인물과사상사
권력은 사람의 뇌를 바꾼다 2020 / 지음: 강준만 / 인물과사상사
노무현과 자존심2002 / 강준만 저 / 인물과 사상사
반지성주의: 우리의 자화상2022 / 지음: 강준만 / 인물과사상사
반지성주의: 우리의 자화상2022 / 지음: 강준만 / 인물과사상사
정치 무당 김어준: 그 빛과 그림자2023 / 지음: 강준만 / 인물과사상사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인가 : 시민과 지식인에게 길을 묻다2017 / 지음: 경향신문 창간 70주년 특별취재팀 / 책세상
박근혜 스타일 2012 : 정치 평론계의 달인, 고성국의 대선후보 집중 진단!2012 / 고성국 지음 / 예옥
박근혜 스타일 2012 : 정치 평론계의 달인, 고성국의 대선후보 집중 진단!2012 / 고성국 지음 / 예옥
쓰고 읽다2017 / 지은이: 고종석 / alma(알마 출판사)
박근혜 조용한 혁명2012 / 고하승 지음 / 프런티어
미래를 여는창 : 이회창의 정치철학과 비전2002 / 孔星鎭 지음 / 자연사랑
지금은 강남시대 : 계급영향평가의 관점에서 바라본 21세기 한국 정치 : 공희준 정치 에세이2017 / 지은이: 공희준 / 타임라인
유죄vs무죄 : 법정에 선 법관들2019 / 지음: 곽동진 / 모아북스
같이 빌린 책
출동 119! 우리가 간다2011 / 김종민 쓰고 그림 / 사계절
타락한 저항 : 지배하는 '피해자'들, 우리 안의 반지성주의2019 / 지음: 이라영 / 교유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