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01 들어가며
1. 기와 검사의 고대사 연구
2. 한국 고대사의 쟁점들
3. 한국 고대사의 추적 방법
02 와당문화
1. 와당의 문화적 상징성
2. 와당문화의 출현과 전파
3. 와당문화 주체로서의 민족
03 와당으로 본 중국의 문화와 민족
1. 중국 와당에 표현된 문화와 문화교류
2. 중국 민족과 문화의 원류
04 와당으로 본 한국의 문화와 민족
1. 한국 와당에 표현된 문화와 문화교류
2. 한국 민족과 문화의 원류
05 와당으로 본 한국 고대사의 쟁점들(1)
1. 요하문명의 주체
2. 고조선의 건국 시기
3. 고조선의 강역
4. 고조선의 수도
5. 고조선의 천도
6. 고조선의 서쪽 경계
06 와당으로 본 한국 고대사의 쟁점들(2)
1. 고조선의 형성과 계승
2. 기자조선과 고조선
3. 위만조선과 고조선
4. 한군현과 고조선
5. 고조선의 정통성 계승
6. 고구려의 고조선 구토 회복(다물)과 존재감
07 와당으로 본 한국 고대사의 쟁점들(3)
1. 낙랑군, 왕검성의 동일성과 위치
2. 사서의 기록에 의한 낙랑군의 위치
3. 평양 출토 와당으로 본 낙랑군과 낙랑국
4. 낙랑군 요서, 요동설과 평양설의 논거와 맹점
5. 낙랑군의 이동과 교치
6. 한군현의 위치와 위만조선
08 와당으로 본 한국 고대사의 쟁점들(4)
1. 427년 고구려 천도의 장소
2. 평양 천도 후의 국내성 통치
3. 평양 안학궁 출토 와당의 제작 시기
4. 고구려 와당문화의 중국 전파
5. 고려 와당문화의 중국 전파
09 와당으로 본 일본의 문화와 민족
1. 일본 와당에 표현된 문화와 문화교류
2. 일본 민족과 문화의 원류
10 와당으로 본 한·중·일의 문화와 역사
1. 역사적 공동운명체
2. 공동번영의 목표
3. 한국 역사의 자화상
11 한국의 민족과 문화의 원류 탐색을 위한 제언
1. 한국 민족과 문화 원류 탐색의 중요성
2. 한국 민족과 문화 원류 탐색을 위한 제안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