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음주의' 표기의 문제점과 '한글전용'의 한계를 객관적이고 현대적인 안목으로 비판한 책. 저자는 '한글전용'이라는 어문정책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한자 선행학습에 대한 생생한 경험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교육 현실을 개선할 방안을 제시한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서론 - 무엇이 문제인가? 제2장 한자는 외국 문자인가? 제3장 8·15 독립인가, 해방인가, 광복인가? 제4장 ‘조선족’은 응당 ‘재중동포’라고 고쳐 불러야 한다 제5장 한자는 청산해야 할 ‘제국문자(帝國文字)’가 아니다 제6장 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 동아시아 국가의 어문정책 수립에서 미국과 소련은 어떤 작용을 했나? 제7장 한자는 외국 문자가 아니다. 이미 우리 문자이다 제8장 「원음주의」 표기, 도대체 누구를 위한 것인가? 제9장 중국의 지명·인명 「원음주의」 표기, 과연 편리한가? 제10장 결론
미주 참고문헌 부록
서가브라우징
어플루엔자2002 / 존더 그라프 ; 데이비드 왠 / 한숲출판사
우리는 왜 충돌하는가 : 21세기 최고의 문화심리학자가 밝히는 갈등과 공존의 해법2015 / 헤이즐 로즈 마커스, 앨래나 코너 지음 ; 박세연 옮김 / 흐름출판
우리는 왜 충돌하는가 : 21세기 최고의 문화심리학자가 밝히는 갈등과 공존의 해법2015 / 헤이즐 로즈 마커스, 앨래나 코너 지음 ; 박세연 옮김 / 흐름출판
히피와 반문화 : 60년대, 잃어버린 유토피아의 추억2015 / 크리스티안 생-장-폴랭 지음 ; 성기완 옮김 / 문학과지성사
사모아의 청소년 : 서구문명을 위한 원시사회 청소년들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2008 / 마거릿 미드 지음 ; 박자영 옮김 / 한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