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를 중심으로 역사, 문학, 시사, 인물을 아우른 책이다. 인문학적 지식뿐 아니라 경제학적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 있는 눈을 선사한다. 저자 오형규 「한국경제신문」 논설위원은 28년차 경제 전문 기자답게 재미없는 개념이나 연도 대신 인문학적 소양을 길러줄 수 있는 다양한 이야깃거리를 풀어냈다.
목차
들어가며
1부 원시·고대 경제, 인류의 생각이 깨어나다 01 농업혁명과 교환 _주석 안 나는 히타이트는 어떻게 청동기 제국이 될 수 있었을까? 02 그리스 문명과 화폐경제 _아테네의 황금시대를 가능하게 한 것은 무엇일까? 03 팍스로마나의 실크로드 _해가 지지 않는 제국 로마가 쇠퇴한 까닭은?
2부 중세 경제, 종교 억압 속에 싹튼 상업 01 중세 봉건시대와 장원경제 _이자를 금지하면 어떻게 돈을 빌려 줄까? 02 십자군 전쟁과 무역 도시 _중세 유럽과 이슬람, 어느 쪽이 더 앞서 있었을까? 03 중국 문명과 4대 발명 _선진 문명 중국이 유럽보다 근대화가 늦은 이유는? 04 몽골 제국과 무역의 세계화 _번영의 실크로드가 쇠락의 길로 전락한 이유는?
3부 근대 경제, 패권 다툼에서 살아남기 01 대항해 시대와 해양 패권 _작은 후추 알갱이가 어떻게 세계사를 바꿀 수 있었을까? 02 절대왕정과 중상주의 _금은이 많아야 부강한 나라일까? 03 산업혁명과 자유무역 _진정한 국부란 무엇인가? 04 곡물조례와 비교우위 _산업혁명을 가로막으려 했던 이들은 누굴까? 05 감자 대기근과 인구론 _식량 증가 속도는 인구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할까?
4부 근대 경제의 질주, 번영과 몰락의 시절 01 자본주의에서 탄생한 마르크스 사회주의 _자본주의 붕괴를 예언한 마르크스가 틀린 까닭은? 02 제국주의와 식민지 _서양은 어떻게 200년 만에 동양을 앞질렀을까? 03 질주하는 세계와 대량소비 _경기가 좋지 않을 때 보호무역으로 돌아서는 이유는 무엇일까?
5부 현대 경제 체제의 확립, 위기에서 기회를 엿보다 01 1차 세계대전과 초인플레이션 _중앙은행이 화폐 발행을 독점하게 된 까닭은? 02 2차 세계대전과 대공황 _미국이 대공황에서 탈출한 진짜 이유는? 03 동서 냉전과 공산주의의 흥망 _2차 세계대전 이후 달러가 기축통화가 된 배경은? 04 세계화와 경제 위기 _통화정책의 '양적완화'로 금융 위기를 벗어날 수 있을까? 05 인터넷과 정보혁명 _로봇이 내 일자리를 빼앗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