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조직연구의 기초
제1장 조직의 의미
제1절 조직의 중요성
제2절 조직의 정의
제3절 지식정보사회에서의 조직
제4절 이 책의 개요
제2장 조직이론의 통합
제1절 조직이론 연구의 전제
제2절 스콧의 조직이론 분류 방법
제3절 조직을 바라보는 여덟 가지 시각
제4절 통합적 시각
제2부 개인 차원의 연구
제1장 학습, 지각 및 귀인
제1절 학습
제2절 지각
제3절 귀인
제2장 개인차
제1절 개인의 성격
제2절 태도
제3절 조직시민행동(OCB)
제4절 직무와 스트레스
제5절 개인차의 조직관리상의 의미
제3장 전통적 동기부여이론
제1절 동기의 본질
제2절 전통적 동기이론
제3절 욕구이론의 통합
제4장 현대적 동기부여이론
제1절 공정성이론
제2절 기대이론
제3절 목표설정이론
제4절 참여적 조직관리 및 귀인이론
제5절 정보사회에서 동기부여
제3부 집단 차원의 연구
제1장 집단의 속성
제1절 대인 관계와 집단
제2절 집단의 유형과 형성
제3절 집단 발전의 단계
제4절 집단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제5절 팀조직
제6절 조직 내의 집단관리
제2장 리더십
제1절 리더십의 본질
제2절 전통적 접근법
제3절 현대적 접근법
제4절 한국 행정조직에서 리더십에 관한 연구
제5절 정보사회의 리더십
제3장 권력, 정치적 행동 및 갈등관리
제1절 조직 내 권력
제2절 조직 내 정치적 행동
제3절 조직 내 갈등관리
제4절 조직 내 협상
제5절 지식정보사회의 조직 내 권력 및 갈등
제4장 의사전달
제1절 의사전달의 의의와 과정
제2절 조직 의사전달의 유형과 효율화
제3절 조직의 의사전달 네트워크
제4절 정보사회의 의사전달
제5장 의사결정
제1절 의사결정의 의의
제2절 의사결정의 이론모형
제3절 정보사회에서 조직 내 의사결정
제4부조직 차원의 연구
제1장 조직의 목표
제1절 목표의 의미
제2절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
제3절 목표의 유형과 다원목표의 관리
제4절 목표의 변동
제5절 목표관리(MBO)
제2장 조직의 효과성
제1절 조직효과성의 의미
제2절 전통적 접근 방법
제3절 현대적 접근 방법
제4절 한국 행정조직에서 조직효과성 연구
제3장 조직문화
제1절 조직문화의 본질 및 중요성
제2절 조직문화의 주요 모형
제3절 조직문화의 기능
제4절 조직문화의 효과적 관리 방법
제5절 한국 행정조직에서 조직문화 연구
제4장 조직구조의 이해
제1절 조직구조의 의의
제2절 공식화
제3절 집권화와 분권화
제4절 복잡성
제5절 기본 변수들의 통합
제6절 조직의 통합 및 조정
제7절 한국 행정조직에서 조직구조 연구
제5장 조직구조의 설계
제1절 조직구조의 상황 변수
제2절 애드호크라시
제3절 정보 기술과 조직구조의 관계
제4절 한국 행정조직에서 조직구조 연구
제6장 조직환경
제1절 조직과 환경
제2절 환경결정론적 관점
제3절 임의론적 관점
제4절 제도주의
제5절 결어
제6절 한국 행정조직에서 조직환경 연구
제7장 조직진단
제1절 조직진단의 의의
제2절 조직진단의 이론적 모형
제3절 한국 행정조직에서 조직진단 연구
제8장 조직혁신
제1절 조직혁신의 기본 개념
제2절 조직혁신의 기본 모형
제3절 조직혁신에 대한 저항과 극복 방안
제4절 조직의 진화
제5절 한국 행정조직에서 조직혁신 연구
제9장 지식정보사회에서의 조직
제1절 혼돈이론
제2절 자기조직화와 홀로그래픽 조직설계
제3절 지식정보사회에 대응한 조직모형
제4절 지식정보사회의 조직에 관한 연구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