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고전학 연구총서 2권. 플라톤 철학 이후, 그러니까 아리스토텔레스를 중심으로 시작하여 고대철학이 끝나가는 시점에 해당하는 기원후 6세기의 보에티우스까지를 다루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서양고대철학의 전통은 크고 작은 여러 선들로 복잡하게 구성되며, 훨씬 넓은 지역에서 펼쳐진다.
목차
책머리에 일러두기
제1부 아리스토텔레스 제1장 아리스토텔레스의 생애와 저작 / 김재홍 1. 생애와 인물됨 2. 편력(遍歷)의 시기 3. 두 번째 아테네 체류 시기 4. 아리스토텔레스 저작에 관해서 제2장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과 학문 방법론 / 김재홍 1.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의 특징 2. 논리학 저작의 구성 3. 주어-술어 이론 4. 쉴로기스모스와 연역 5. 아리스토텔레스의 삼단논법 6. 논증 이론과 앎: 학문 탐구 방법 7. ‘논증’의 구체적 사례 8. 제1원리(아르카이)에 대한 앎을 획득하는 방법 9. 변증술의 학문 방법적 위상: 엔독사란 무엇인가 10. 마무리 제3장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 / 조대호 1. ‘형이상학’과 『형이상학』 2. ‘있는 것’의 여러 가지 뜻과 ‘실체’ 3. 실체란 무엇인가 4. 가능태-현실태 이론 5. “부동의 원동자”의 신학 제4장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 / 손윤락 1. 철학사의 맥락과 ‘자연학’의 위치 2. 자연학의 일반 원리 3. 4원인설 4. 목적론 5. 천체론과 요소 이론 6. 아리스토텔레스의 세계와 신 7. 맺는 말 제5장 아리스토텔레스의 심리철학 / 유원기 1. 영혼의 문제 2. ‘질료와 형상’ 또는 ‘신체와 영혼’ 3. 형상의 우선성 4. 영혼의 종류와 능력 5. 다양한 심리철학적 해석 제6장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 / 전헌상 1.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 저작들 2. 행복 3. 덕 4. 자제력 없음 5. 즐거움 6. 관조 제7장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철학 / 손병석 1. 『정치학』의 주제와 방법론 2. 폴리스와 개인의 관계 3. 여성과 노예 그리고 가정 경영 4. 플라톤의 이상 국가에 대한 비판 5. 정체론과 분배 정의 그리고 민주정 6. 이상 국가론 7. 시민 교육 제8장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과 ‘수사학’ / 김헌 1. 『시학』과 『수사학』의 자리 2.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3.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
제2부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전통 제9장 스토아 철학 / 이창우 1. 학파의 역사와 텍스트 원천 2. 논리학 3. 자연학 4. 윤리학 5. 영향사 제10장 에피쿠로스주의: 치유로서의 철학 / 오유석 1. 학파와 문헌 2. 원자론 3. 감각과 인식 4. 쾌락과 좋은 삶 5. 영향사 제11장 헬레니즘 시대의 회의주의 / 오유석 1. 역사와 문헌 2. 파악 불가능 3. 판단 유보와 회의주의자의 믿음 4. 영향사 제12장 소(小)소크라테스학파 / 김유석 1. 들어가는 글 2. 에우클레이데스와 메가라 학파 3. 아리스티포스와 퀴레네 학파의 쾌락주의자들 4. 안티스테네스와 견유(犬儒)학파 5. 결론을 대신하여 제13장 플로티누스 / 송유레 1. 철학사적 위치 2. 생애와 저작 3. 사상 제14장 고대철학과 그리스도교의 만남: 교부 전통 / 박승찬 1. 그리스 로마 문화와 그리스도교의 첫 만남 2. 그리스 철학에 대한 거부와 수용 3. 요약 제15장 고대철학의 종언 혹은 새로운 모색: 아우구스티누스에서 보에티우스까지 / 강상진 1. 들어가는 말 2. 역사적 조망: 지적 자립을 시도하는 라틴 문명 3. 아우구스티누스와 고전 문명의 사상적 정산 4. 보에티우스와 고대철학의 종언 5. 서양고대철학의 종언과 유산: 대체와 종합 사이
집필진 소개
서가브라우징
어떻게 휘둘리지 않는 개인이 되는가 : 6인의 철학자가 삶으로 입증한 견고한 나 되는 법2018 / 홍대선 지음 / 푸른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