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서문 최근 서술이론의 전통과 혁신
제임스 펠란James Phelan&피터 라비노비츠Peter J. Rabinowitz
프롤로그
1 서술이론의 역사 (I)―초기 발달들의 계보학 데이빗 허만David Herman
2 서술이론의 역사 (II)―구조주의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모니카 플루더닉Monika Fludernik
3 망령들, 그리고 괴물들―서술이론의 역사를 쓰는 일의 가능성 혹은 불가능성에 관하여
브라이언 맥헤일Brian McHale
1부|다루기 힘든 문제들에 관한 새로운 조명
4 암시된 저자의 부활―왜 성가실까?
웨인 부스Wayne C. Booth
5 신뢰할 수 없는 서술의 재개념화―인지적 접근과 수사학적 접근의 종합
안스가 뉘닝Ansgar F. Nünning
6 저자의 수사학, 서술자의 신뢰성과 비신뢰성, 서로 다른 독해들
―톨스토이의 크로이체르 소나타
타마 야코비Tamar Yacobi
7 헨리 제임스와 ‘초점화’ 또는 제임스가 ‘짚’을 사랑하는 이유
힐리스 밀러J. Hillis Miller
8 서사론과 문체론은 서로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단 쉔Dan Shen
9 서술 허구성의 화용론
리처드 월시Richard Walsh
2부|수정과 혁신
10 플롯의 시학을 넘어서―서술진행의 대안적 형식과 율리시즈의 다중적 궤도
브라이언 리처드슨Brian Richardson
11 그들은 호랑이들을 쏘았다―긴 이별의 ‘패스’와 대위법
피터 라비노비츠Peter J. Rabinowitz
12 공간의 시학 그리고 아룬다티 로이의 작은 것들의 신
수잔 스탠포드 프리드먼Susan Stanford Friedman
13 보는 이의 ‘나’―애매모호한 결합과 구조주의 서술론의 한계
수잔 랜서Susan S. Lanser
14 네오내러티브
―또는, 사실주의 소설과 최근 영화에서 ‘서술할 수 없는 것’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
로빈 워홀Robin R. Warhol
15 서술의 특질과 힘으로서의 자의식―보편적 구도에서의 말하는 이 대 정보제공자
메이어 스턴버그Meir Sternberg
16 포의 타원형 초상화에서 연속과 삽입과 에크프라시스의 효과
엠마 카팔레노스Emma Kafalenos
17 댈러웨이 부인의 후예―2급 서술로서의 세월
시모어 채트먼Semour Chatman
참고문헌
용어 색인
작품 색인
인명 색인
필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