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전정 제3판 머리말
개정판 머리말
초판 머리말
제1장 정책학과 정책분석
제1절 정책학의 등장과 연구의 전개
1. 정책학의 등장
2. 정책연구에 대한 재관심
제2절 정책학의 목적과 패러다임
제3절 정책학의 연구 대상 및 내용과 정책분석
1. 정책학의 연구 대상과 내용
2. 정책과정에서 정책분석의 위치
제2장 정책분석의 본질과 유형
제1절 정책분석의 의의
1. 정책분석의 개념
2. 정책분석의 특성
3. 정책분석의 유형
제2절 바람직한 정책의 의의
1. 정책의 개념
2. 정책의 본질적 특성
3. 바람직한 정책의 의미와 판단 기준
제3절 정책분석의 단계
1. 정책분석의 단계의 특성
2. 정책분석의 단계
제4절 정책분석의 한계와 극복
1. 정책분석의 한계
2. 정책분석 한계의 극복
제3장 정책분석의 차원과 조직
제1절 정책분석의 차원
1. 정책의 목적 구조
2. 정책분석의 차원
제2절 정책분석의 기본 구조
1. 정책의 목표·수단 구조 측면에서의 차원별 분석의 구조화
2. 평가 기준 측면에서의 차원별 분석의 구조화
3. 종합
제4장 정책토론과 정책논증
제1절 정책분석과 정책토론
1. 정책토론의 의의와 특징
2. 합리적인 정책토론의 의미와 장애 요인
3. 합리적 정책토론의 기획과 전제 요건
제2절 정책논증의 의의
1. 논증의 의의
2. 정책논증의 의의
3. 정책논증의 구성 요소
4. 정책논증의 구조
5. 정책논증의 전개 과정 예
제5장 정책문제의 분석과 목표 설정
제1절 정책문제 분석과 정의의 본질
1. 의의
2. 정책문제 정의의 관점
3. 정책문제의 개념
4. 정책문제의 특성
5. 정책문제 분석의 중요성
제2절 정책문제 분석의 과정과 내용
1. 예비분석
2. 본분석
3. 정책문제 분석의 방법
4. 바람직한 정책문제의 정의
제3절 정책목표의 설정
1. 정책분석에서 목표 설정·목표 분석의 의미
2. 정책목표의 의의와 기능
3. 정책문제의 정의와 정책목표 설정의 관계
4. 바람직한 정책목표의 요건
5. 정책목표들 사이의 관계와 우선순위의 결정
6. 정책목표의 구체화
제6장 정책대안분석 Ⅰ : 대안의 탐색·개발
제1절 정책대안분석의 의의
1. 정책대안의 의의
2. 대안분석의 의의
3. 정책대안의 분석 과정
제2절 정책대안의 탐색·개발
1. 정책대안의 탐색·개발의 의의
2. 정책대안의 탐색·개발 과정
3. 정책수단의 유형과 특성
4. 정책대안의 탐색·개발 방법
5. 정책대안의 탐색·개발의 제약과 극복
제3절 대안의 예비분석
1. 예비분석의 의의
2. 예비분석의 방법과 기준
3. 대안의 수정 및 재설계
제7장 정책대안 분석 Ⅱ: 대안의 결과 예측
제1절 정책대안 결과 예측의 의의
1. 정책분석에서의 예측
2. 결과 예측의 대상
3. 대안 결과의 예측과 불확실성
제2절 정책대안 결과의 예측 방법
1. 예측의 근거
2. 대안 결과의 예측 방법
3. 예측 방법의 선택
제8장 정책대안 분석 Ⅲ: 대안의 비교·평가
제1절 정책대안 비교·평가의 의의와 차원
1. 의의
2. 대안 비교·평가의 차원과 조직
제2절 정책대안의 비교·평가
1. 윤리성 차원의 비교·평가
2. 실현성 차원의 비교·평가
3. 효율성 차원의 비교·평가
4. 정책대안 종합판정표의 작성과 활용
5. 게임이론의 활용
제9장 정책분석 결과의 제시
제1절 분석 결과 제시의 의의
1. 중요성
2. 분석 결과 제시의 대상
제2절 분석 결과 제시의 기본 전제
1. 분석이 근거한 가치 전제의 표명
2. 타당성 전제의 확보
3. 개방적 관점의 유지
제3절 정책분석가의 역할 유형과 분석 결과의 제시 방법
1. 정책분석가의 역할 유형
2. 정책분석 결과의 제시 방법
제4절 분석 결과의 활용과 제약 요인
1. 분석 결과의 활용
2. 분석 결과 활용의 제약 요인
3. 분석 결과의 활용 증대 방안
제10장 정책정보, 정책지표와 정책정보체제
제1절 정책분석과 정책정보
1. 정책정보의 의의
2. 정책정보의 성격과 요건
3. 정책정보 활동의 과정
제2절 정책정보로서의 정책지표
1. 정책지표의 의의
2. 정책지표의 성격
3. 정책지표의 유형
4. 정책지표의 개발
제3절 정책정보체제의 구축
1. 정책정보 관리의 의의
2. 정책정보체제의 개념과 필요성
3. 정책정보체제 구축의 기본 방향
제11장 정책분석가의 윤리성
제1절 정책분석가 윤리의 본질
1. 정책분석과 윤리
2. 정책분석가의 역할 인식과 윤리
제2절 정책분석가의 윤리적 판단 국면
1. 정책분석 목적과 내용상의 윤리성
2. 정책분석 과정상의 윤리성
3. 정책분석 결과 제시 단계에서의 윤리성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