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도서

  • 임화의 영화
  • 임화의 영화

    발행연도 - 2015 / 지음: 백문임 / 소명출판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77285
    • ISBN 9791185877266
    • 형태 377 p. 24 cm
    • 한국십진분류 예술 > 공연예술 및 매체예술 > 영화
    • 카테고리분류 예술/대중문화 > 영화 > 영화비평/감상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시인이자 문학평론가로 더 많이 알려진 임화(1908~1953)의 영화론을 본격적으로 조명한 책이다. 임화문학예술전집(2009) 등 기존 전집이나 선집에 포함되지 않았던 임화의 영화평론과 영화소설, 대담 등의 다양한 자료도 풍성하게 수록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책머리에-“만들어나가는 것”으로서의 조선영화

제1장 프롤레타리아 영화와 종족지(ethnography) 사이에서
1. 병약한 사람의 살아가는 생리
2. 아메리카니즘에서 러시아니즘으로
3. “우리들의 영화”
4. 매혹적인 카니발리즘
5. 자본주의적 사실
보론 1) “발달된 반동영화”, <메트로폴리스>(1927)
보론 2) 일본 프로영화 담론의 ‘식민지 영화’-<아세아의 람(嵐)>(1928)의 경우

제2장 조선영화라는 (불)안정한 위치-「조선영화발달소사」(1941)의 생산
1. ‘조선영화’의 발견
2. ‘공식적인’ 영화사 생산과 ‘고전’의 확립
3. ‘아시아 영화’와 조선영화
4. 해방 후…

제3장 영화사(史)의 좌표와 ‘예술성과 기업성’의 변증법
1. ‘예술성과 기업성’의 변증법
2. “조선영화의 예술적 성격”-농촌․묘사․정서
3. 아시아에서 ‘전시’되는 내선일체
4. “만들어나가는 것”으로서의 국민영화
보론) 󰡔대지󰡕, 전체주의, 기록성-<복지만리>(1941)가 실패한 이유

제4장 조선영화의 존재론-「조선영화론」(1941)을 중심으로
1. ‘영화령’을 전유하며 말하기
2. 조선영화의 존재론-영화는 예술‘이다’
3. 조선영화의 토대
4. 조선영화의 환경
5. 예술의 수단

부록-자료
=영화평론=
1. 「위기에 임한 조선영화계」(󰡔매일신보󰡕, 1926.6.13․20)
2. 「심심풀이로」(󰡔매일신보󰡕, 1926.8.8)
3. 「조선영화를 이렇게 성장시키자-평(評)과 감독의 대중적 감시를」(󰡔조선일보󰡕, 1928.4.29~5.4)
4. 「조선영화가 가진 반동적 소시민성의 말살-심훈 등의 도량에 항하야」(󰡔중외일보󰡕, 1928.7.28~8.4)
5. 「최근 세계영화의 동향」(󰡔조선지광󰡕 83, 1929.2)
6. 「영화적 시평(時評)」(󰡔조선지광󰡕 85, 1929.6)
7. 「조선영화의 제경향에 대하여(朝鮮映画の諸傾向に就いて)」(󰡔新興映画󰡕, 1930.3)
8. 「서울키노 <화륜(火輪)>에 대한 비판」(󰡔조선일보󰡕, 1931.3.25~4.3)
9. 「여배우 인상기-이월화, 신일선」(󰡔모던조선󰡕, 1936.9)
10.「기계미(機械美)」(󰡔인문평론󰡕, 1940.1)
11. 「뉴-스와 만화-경일(京日) 문화영화극장」(󰡔매일신보󰡕, 1940.2.9)
12. 「<히틀러 전(傳)>」(󰡔경성일보󰡕, 1940.3.27)
13. 「조선영화와 기술」(󰡔매일신보󰡕, 1940.4.3)
14. 「유료시사회」(󰡔매일신보󰡕, 1940.4.30)
15. 「조선영화발달소사」(󰡔삼천리󰡕, 1941.6)
16. 「조선영화론」(󰡔춘추󰡕, 1941.11)
17. 「영화의 극성(劇性)과 기록성(記錄性)」(󰡔춘추󰡕, 1942.2)
18. 「조선영화론」(󰡔매일신보󰡕, 1942.6.28~30)

=좌담회, 간담회, 대담=
1. 「종합간담회-신극은 어디로 갔나? 조선영화의 새출발」(󰡔조선일보󰡕, 1940.1.4)
2. 「영화문화인 간담회」(󰡔매일신보󰡕, 1940.2.10)
3. 「총력연맹 문화부장 시과영삼랑(矢鍋永三郞)․임화 대담」(󰡔조광󰡕, 1941.3)
4. 「좌담회-조선영화의 신(新)출발」(󰡔조광󰡕, 1942.1)

=영화소설=
1. 「신문지와 말대리」(󰡔별나라󰡕, 1929.5․7)

참고문헌
간행사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욕망하는 영화기계 : 한국영화의 시각적 무의식 욕망하는 영화기계 : 한국영화의 시각적 무의식 2001 / 박명진 저 / 연극과인간
코미디언 전성시대  : 한국 코미디영화의 역사와 정치미학  = In the heyday of comedians : the history and political aesthetics of Korean comedy films 코미디언 전성시대 : 한국 코미디영화의 역사와 정치미학 = In the heyday of comedians : the history and political aesthetics of Korean comedy films 2018 / 지은이: 박선영 / 소명출판
(2011년)세계 영화산업 현황과 한국영화의 해외 진출 (2011년)세계 영화산업 현황과 한국영화의 해외 진출 2013 / 박주영 / 영화진흥위원회
한국영화 죽이기 : 천만영화로 본 한국영화산업-포스트 봉·찬·수는 없다- 한국영화 죽이기 : 천만영화로 본 한국영화산업-포스트 봉·찬·수는 없다- 2023 / 지음: 배장수, 권영락 / 넥스트월드
월하의 여곡성 : 여귀로 읽는 한국 공포영화사 월하의 여곡성 : 여귀로 읽는 한국 공포영화사 2008 / 백문임 저 / 책세상
월하의 여곡성 : 여귀로 읽는 한국 공포영화사 월하의 여곡성 : 여귀로 읽는 한국 공포영화사 2008 / 백문임 저 / 책세상
줌 - 아웃 : 한국영화의 정치학 줌 - 아웃 : 한국영화의 정치학 2001 / 백문임 저 / 연세대학교출판부
임화의 영화 임화의 영화 2015 / 지음: 백문임 / 소명출판
변방에서 중심으로 변방에서 중심으로 1996 / 서울영상집단 엮음 / 서울영상집단
(서정남의) 북한영화탐사 (서정남의) 북한영화탐사 2002 / 서정남 저 / 생각의나무
영화, 변혁운동이 되다 : 서울대 얄라셩에서 시네마테크까지 영화, 변혁운동이 되다 : 서울대 얄라셩에서 시네마테크까지 2023 / 지음: 성하훈 / 푸른사상
충무로, 새로운 물결: 기획영화에서 한국독립영화협회까지 충무로, 새로운 물결: 기획영화에서 한국독립영화협회까지 2023 / 지음: 성하훈 / 푸른사상
당신이 그린 우주를 보았다 : 이토록 풍부한 여성영화의 세계 당신이 그린 우주를 보았다 : 이토록 풍부한 여성영화의 세계 2021 / 지음: 손희정 / 마음산책
당신이 그린 우주를 보았다 : 이토록 풍부한 여성영화의 세계 당신이 그린 우주를 보았다 : 이토록 풍부한 여성영화의 세계 2021 / 지음: 손희정 / 마음산책
韓國映畵側面秘史 韓國映畵側面秘史 1999 / 安鍾和 지음 / 현대미학사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스탠리 큐브릭 : 장르의 재발명 스탠리 큐브릭 : 장르의 재발명 2014 / 진 D. 필립스 엮음 ; 윤철희 옮김 / 마음산책
스페인 영화 : 작가주의 전통과 국가 정체성의 재현 스페인 영화 : 작가주의 전통과 국가 정체성의 재현 2014 / 임호준 지음 / 문학과지성사
식민적 근대성과 한국영화 = Colonial Modernity and Korean Cinema : 조선영화와 충무로 영화의 역사적 문화 상상 식민적 근대성과 한국영화 = Colonial Modernity and Korean Cinema : 조선영화와 충무로 영화의 역사적 문화 상상 2013 / 주창규 지음 / 소명
이동진의 부메랑 인터뷰 그 영화의 시간 = Boomerang Interview 이동진의 부메랑 인터뷰 그 영화의 시간 = Boomerang Interview 2014 / 지음: 이동진 / 예담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 할 70가지 : 〈씨네21〉주성철 기자의 영화강상법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 할 70가지 : 〈씨네21〉주성철 기자의 영화강상법 2014 / 주성철 지음 / 소울메이트
지중해의 영화 지중해의 영화 2014 / 박은지 지음 / 산지니
그 영화 같이 볼래요 : 영화가 끝나고 시작된 진짜 영화 이야기, 시네마톡 그 영화 같이 볼래요 : 영화가 끝나고 시작된 진짜 영화 이야기, 시네마톡 2013 / 김영진 외 지음 ; 조인철 엮음 / 씨네21북스
탐욕과 생존 : 영화, 분쟁을 말하다 탐욕과 생존 : 영화, 분쟁을 말하다 2012 / 김용성 지음 / 책으로보는세상
조선영화의 탄생 조선영화의 탄생 2018 / 지음: 한상언 / 박이정
무비유환 : 영화에는 인생의 기쁨이 있다 무비유환 : 영화에는 인생의 기쁨이 있다 2017 / 지음: 이재익, 이승훈, 김훈종 / 박하
처음 만나는 영화: 내 영혼을 울린 문학텍스트로서의 영화 처음 만나는 영화: 내 영혼을 울린 문학텍스트로서의 영화 2017 / 지음: 김성곤 / RHK
길에서 어렴풋이 꿈을 꾸다 : 이동진의 영화풍경 길에서 어렴풋이 꿈을 꾸다 : 이동진의 영화풍경 2010 / 이동진 글·사진 / 예담
소리의 정치  : 식민지 조선의 극장과 제국의 관객 소리의 정치 : 식민지 조선의 극장과 제국의 관객 2016 / 지음:이화진 / 현실문화
장면으로 직접 보는 위대한 영화의 편집 문법 장면으로 직접 보는 위대한 영화의 편집 문법 2013 / 지음: 게일 챈들러 ; 옮김: 민경원 /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로사와 아키라 자서전 비슷한 것 구로사와 아키라 자서전 비슷한 것 2014 / 지음: 구로사와 아키라 ; 옮김: 김경남 / 모비딕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