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머리에-“만들어나가는 것”으로서의 조선영화
제1장 프롤레타리아 영화와 종족지(ethnography) 사이에서
1. 병약한 사람의 살아가는 생리
2. 아메리카니즘에서 러시아니즘으로
3. “우리들의 영화”
4. 매혹적인 카니발리즘
5. 자본주의적 사실
보론 1) “발달된 반동영화”, <메트로폴리스>(1927)
보론 2) 일본 프로영화 담론의 ‘식민지 영화’-<아세아의 람(嵐)>(1928)의 경우
제2장 조선영화라는 (불)안정한 위치-「조선영화발달소사」(1941)의 생산
1. ‘조선영화’의 발견
2. ‘공식적인’ 영화사 생산과 ‘고전’의 확립
3. ‘아시아 영화’와 조선영화
4. 해방 후…
제3장 영화사(史)의 좌표와 ‘예술성과 기업성’의 변증법
1. ‘예술성과 기업성’의 변증법
2. “조선영화의 예술적 성격”-농촌․묘사․정서
3. 아시아에서 ‘전시’되는 내선일체
4. “만들어나가는 것”으로서의 국민영화
보론) 대지, 전체주의, 기록성-<복지만리>(1941)가 실패한 이유
제4장 조선영화의 존재론-「조선영화론」(1941)을 중심으로
1. ‘영화령’을 전유하며 말하기
2. 조선영화의 존재론-영화는 예술‘이다’
3. 조선영화의 토대
4. 조선영화의 환경
5. 예술의 수단
부록-자료
=영화평론=
1. 「위기에 임한 조선영화계」(매일신보, 1926.6.13․20)
2. 「심심풀이로」(매일신보, 1926.8.8)
3. 「조선영화를 이렇게 성장시키자-평(評)과 감독의 대중적 감시를」(조선일보, 1928.4.29~5.4)
4. 「조선영화가 가진 반동적 소시민성의 말살-심훈 등의 도량에 항하야」(중외일보, 1928.7.28~8.4)
5. 「최근 세계영화의 동향」(조선지광 83, 1929.2)
6. 「영화적 시평(時評)」(조선지광 85, 1929.6)
7. 「조선영화의 제경향에 대하여(朝鮮映画の諸傾向に就いて)」(新興映画, 1930.3)
8. 「서울키노 <화륜(火輪)>에 대한 비판」(조선일보, 1931.3.25~4.3)
9. 「여배우 인상기-이월화, 신일선」(모던조선, 1936.9)
10.「기계미(機械美)」(인문평론, 1940.1)
11. 「뉴-스와 만화-경일(京日) 문화영화극장」(매일신보, 1940.2.9)
12. 「<히틀러 전(傳)>」(경성일보, 1940.3.27)
13. 「조선영화와 기술」(매일신보, 1940.4.3)
14. 「유료시사회」(매일신보, 1940.4.30)
15. 「조선영화발달소사」(삼천리, 1941.6)
16. 「조선영화론」(춘추, 1941.11)
17. 「영화의 극성(劇性)과 기록성(記錄性)」(춘추, 1942.2)
18. 「조선영화론」(매일신보, 1942.6.28~30)
=좌담회, 간담회, 대담=
1. 「종합간담회-신극은 어디로 갔나? 조선영화의 새출발」(조선일보, 1940.1.4)
2. 「영화문화인 간담회」(매일신보, 1940.2.10)
3. 「총력연맹 문화부장 시과영삼랑(矢鍋永三郞)․임화 대담」(조광, 1941.3)
4. 「좌담회-조선영화의 신(新)출발」(조광, 1942.1)
=영화소설=
1. 「신문지와 말대리」(별나라, 1929.5․7)
참고문헌
간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