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01. 하나뿐인 세계: 과연 어떤 모습일까?
백만장자와 극빈층 사이의 엄청난 격차
공공자금, 그 누구를 위해?
하나뿐인 지구에 매달리기
시간이 촉박하다! 지금 이 순간 무슨 일이?
가난한 사람은 더욱 가난해지고, 부유한 사람은 더욱 부유해지고
사람들을 죽음에 이르게 하는 것들
극소수의 사람이 너무 많은 것을 소비하다
02. 세계화: ‘국경 없는 세상’이라는 이데올로기
국경을 넘나드는 다국적기업
돈 돈 돈, 세계 구석구석 돌아다니는 돈
높아지고 낮아지고, 무역장벽의 두 얼굴
세계를 정복하는 관광객들
03. 밀레니엄개발목표: 전 세계의 가난을 절반으로 줄이는 방법
26억 명, 극단적인 빈곤 상태에 처하다
평균 체중 미달로 죽어가는 아이들
26억 명, 위생시설 없이 살아가다
“모든 사람이 최소한 초등학교 졸업장을 받게 한다”
노동하는 여성, 차별받는 여성
디지털 격차라는 새로운 그림자
04. 저개발국 원조기금: 과연 누구를 위한 프로젝트인가?
통계상 부풀려진 저개발국 원조기금
“2015년까지 전 세계 빈곤층을 절반으로 줄인다”
05. 사람들 사람들: 더 늘어나고, 더 고령화하고, 더 도시화하고
거의 모든 곳에서 평균 수명이 높아지다
점점 늙어가는 세계, 남반구 국가에서도
동등한 권리를 향한 머나먼 길에 나선 여성들
가파른 도시화, 비어만 가는 농촌
10억 명 이상이 슬럼가에 살다
06. 식량: 과연 일반적인 교역 상품인가?
8억 5000만 명이 굶주림에 시달리다
지구 대륙 북쪽과 남쪽의 영양 섭취 차이
식량과 농경지를 둘러싼 경쟁
농지를 못쓰게 만드는 ‘개량화’
유전자변형작물GMO가 늘어난다
세계시장에서 구매하는 곡물
양식 수산물이 늘어난다
07. 건강: 부유층만의 특권인가?
여섯 명 중 한 명은 깨끗한 물을 마시지 못한다
해마다 아동 1100만 명이 목숨을 잃는다
에이즈, 특히 아프리카에서 심각한
부자와 가진 자만을 위한 의약품 연구
점점 더 많은 물이 병 속에 채워진다
출산으로 인한 죽음
건강은 돈으로 살 수 없다?
08. 교육: 진보를 위한 토대
성인 문맹자 7억 8000만 명
교육에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
두뇌 유출, 전문 인력의 ‘새로운’ 이주
여자아이들을 위한 교육 기회의 확대
실업자의 절반 이상이 25세 미만 젊은이
09. 환경: 미래를 담보로 한 도박인가?
더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 증가와 기후변화
점점 심해지는 기상이변
댐, 의심스러운 대규모 프로젝트
전 세계적인 물 소비의 증가
점점 더 많은 숲이 사라진다
벌채와 조림의 실제 효과
급격히 늘어나는 종이 소비
지구가 자동차로 뒤덮인다면?
바다, 약탈의 표적이 되다
점점 사라져 가는 농경지
위협받는 다양한 생물 종
10. 세계시장: 국경 없는 정글에서 강자의 권리
세계무역의 심각한 불균형
원자재 가격이 가난한 나라에 미치는 영향
개발도상국을 짓누르는 관세장벽
파멸을 불러오는 농업 보조금
11. 외채: 태엽이 다시 돌아가다
계속 늘어나는 가난한 나라들의 외채
이자와 복리, 가난한 채무국의 이중부담
이주 노동자가 고국에 보내는 돈
세계의 자본 흐름
12. 평화: 군비 확장, 전쟁 그리고 테러에 맞서서
군사비 지출이 점점 많아진다
무기 거래로 엄청난 이윤을 챙기다
오히려 고통의 원인이 되는 원자재
지뢰, 폭발하는 지구
내전, 가난한 사람만을 대상으로 한 폭력
13. 인권: 오랫동안 도처에서 실현되지 않는
인신매매, 강제 성매매, 할례. 여성에 대한 폭력
아동노동, 어린 시절의 추억은커녕
자국 내 난민, 자기 나라 안에서의 추방
14. 반성과 성찰: 각 지역의 현안들
아프리카, 외로이 남겨진 대륙
에너지 부족에 시달리는 아프리카
중국과 인도, 빈곤을 무기로 강대국이 되다
아랍, 세계의 화약고
최빈국, 가장 가난한 나라들
곤궁에 처한 사람들과 함께하는 연대
기구와 기관, 인명, 용어 등의 원어
옮긴이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