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금융 발전 과정을 다룬 경제 교양서. 이 책은 '중앙은행 오디세이'라는 이름으로, 저자가 2014년 9월부터 '중앙SUNDAY'에 연재한 글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목차
여는 글
1 19세기 초까지는 금리 동결이 중앙은행의 미덕 2 위폐 사건을 계기로 반공 사회가 된 한국 3 만물박사 다산 정약용도 ‘중앙은행’은 몰랐다 4 ‘돈이 모이는 곳’인가, ‘돈을 바꾸는 곳’인가 5 민간이냐 정부냐 아니면 괴물이냐 6 조선 궁터에 세워진 대한제국 중앙은행의 숙명 7 일본 제국주의의 첨병 노릇한 조선은행 8 중앙은행끼리 원조교제, 최선인가 탈선인가 9 일본 정부에 순종하다가 수렁에 빠지다 10 개인의 머리에서 나왔나, 정부가 법률로 만들었나 11 일제강점기에도 치열했던 금융감독 밥그릇 싸움 12 금융위기 잉태한 일본 제국주의의 후진 정치 13 ‘야만의 유산’인가, ‘자유무역 확산’의 기수인가 14 껍데기만 남은 조선은 금본위제도의 변방이자 이단아 15 조선은행법은 식민지 모순구조의 거울 16 금본위제 고수하던 일 대장상, 우익 청년에게 살해되다 17 ‘일본-조선-만주’는 ‘중심부-반주변부-주변부’ 서열 구조 18 일선만 블록, 일만 블록으로 대체되다 19 미국, 은값 조작으로 동북아를 뒤흔들다 20 식민지 중앙은행 간 통화스와프로 전비 조달한 일본 21 지속 불가능한 전쟁의 결말은 초인플레이션 22 과로와 풍토병에 시달린 조선은행 임직원 23 조선인에게 조선은행은 선망과 좌절의 일터 24 소련군을 피해 남쪽으로 간 북조선의 인재 25 미 군정 업고 금융계 실세가 된 김진형 26 등거리 외교를 통해 존재감 키운 조선은행 27 자주권 확보를 위한 대통령의 결심 28 중앙은행 제도 수입에 의기투합한 미국 박사 삼총사 29 재무장관-연준 의장의 냉전이 만든 우정 30 관료 몫이던 통화정책 결정권이 금통위로 가다 31 힘들게 세상에 나왔으나 생일을 잊은 한국은행
참고문헌 금융사 연표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정당 국고보조금제 비판과 대안1998 / 박효종 저 / 자유기업센터
공무원 재임용제1998 / 배득종 저 / 자유기업센터
외국의 역모기지 사례 : 미국, 일본, 프랑스, 캐나다, 영국2006 / 유선종 저 / 집문당
여신심사 및 관리2017 / 저자: 이기만, 정윤섭, 백운수 / 한국금융연수원
부실대출의 원인과 대책1998 / 이종욱 저 / 자유기업센터
아파트 담보대출 영업의 모든 것 : 고소득 전문직 담보대출 상담사과 되는 길2012 / 임은석 지음 / 아침햇살
(그린스펀 경제학의)위험한 유산2006 / 래비 바트라 지음 ; 황해선 옮김 / 돈키호테
중앙은행 별곡 : 혼돈의 시대 : 1897년 대한제국 선포에서 1950년 한국은행 설립까지2016 / 지음: 차현진 / 인물과 사상사
근대 한국의 자본가 : 대구의 은행 회사를 중심으로2009 / 김일수 지음 / 계명대학교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