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을 둘러싼 근본적인 질문들에 대해, 각 시대의 철학자들이 답을 얻기 위해 시도했던 과정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보여준다. 시대별 혹은 철학사조별 구분이 아니라 철학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는 질문들을 중심으로 중요 철학자들의 생각을 정리하고 있다.
목차
첫머리에- 삶의 문제를 파헤치다 진실로 중요한 문제인가? 까다롭기 그지없는 세상 있음과 앎 무엇이 존재한다고 받아들인다면? 철학의 길잡이
제1장 거기 무엇이 있는가? ‘있음’의 문제 거기 누구 있나요? 좋은 것, 나쁜 것 그리고 추한 것 : 이상적인 세계와 열등한 세상 전체, 혹은 아무것도 없거나 뭔가 있는 것인가? 하지만 왜 있는가? 왜 거기에 있는가? 원동자들
제2장 신은 있는가? 신은 존재하는가?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그분은 존재한다 이성적으로 접근하다 안 믿으면 지는 것 : 파스칼의 도박 입증할 필요 없음 신앙과 이성 신은 죽었다, 혹은 존재하지 않았다 어떤 신이든 선택하라 신은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
제3장 인간이 된다는 것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우리는 존재하는가? 육체와 영혼 신에 붙들린 육체와 영혼 기계 속의 유령 현재의 당신은 과거의 그 사람인가? 개인의 부상(浮上) 실존주의를 향해 나아가다 기계로 돌아가다 - 하지만 영혼은 없다
제4장 우리는 무엇을 알 수 있을까? 당신이 제대로 알고 있다고 믿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우리는 어떻게 확신할 수 있는가? 앎에 대한 두 가지 접근법 과학 혁명 나는 무엇을 알고 있는가? 과학을 향해서 이성의 시대의 이성과 경험 이성과 경험 사이의 성찰 실재를 다르게 보다 진실은 무엇인가? 우리는 무엇을 말할 수 있는가?
제5장 어떻게 살아야 할까? 자유의지와 예정설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신은 알고 있다 우리는 어떻게 선한 삶을 살 수 있는가? 윤리학과 기독교 언제나 같은가, 아니면 그때그때 다른가? 공리주의 윤리관 어떻게 선택할 것인가? 다시 시작하다 메타윤리학 일상에서의 도덕 잘 사는 길
제6장 어떻게 하면 좋은 사회를 만들 수 있을까? 윤리적 사회의 윤리적 시민 사회 계약 자연인과 자연법 혁명! 사회적 수학 공산주의를 향하여 공동체 같은 것은 없다 사회와 사회학 공평함으로서의 정의
에필로그-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철학이라는 직물에서 실을 한 올씩 뽑아내기
역자의 말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14살에 처음 만나는 서양 철학자들: 청소년을 위한 진짜 쉬운 서양 철학2020 / 지음: 강성률, 그림: 서은경 / 북멘토
반철학이 뭡니까?2019 / 지음: 기다 겐 ; 옮김: 장은정 / 재승
생각하는 여자는 괴물과 함께 잠을 잔다2017 / 지음: 김은주 / 봄알람
아트인문학 여행, 이탈리아를 거닐며 르네상스 천재들의 사유를 배우다2015 / 김태진, 백승휴 [등] 지음 / 카시오페아
혼자 공부하는 이들을 위한 최소한의 지식: 철학2020 / 지은이: 남경태 / H(휴머니스트)
(따뜻한 위로가 필요할 때)니체와 고흐2020 / 지음: 프리드리히 니체 ; 엮음: 공공인문학포럼 ; 그림: 빈센트 반 고흐 / 스타북스
러셀 서양철학사2019 / 지음: 버트런드 러셀, 옮김: 서상복 / 을유문화사
철학 오디세이 :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서양철학 이야기2016 / 앤 루니 지음 ; 최석진 옮김 / 돋을새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