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총론
제1장 한국문학의 갈래
제2장 한국 고전시가의 사적 전개
1. 詩歌 發生과 고대시가
2. 鄕歌文學 시대: 삼국시대~고려 숙종
3. 俗樂歌詞 시대: 고려 예종~고려 말
4. 士大夫詩歌의 全盛 시대: 선초~숙종 전
5. 庶民詩歌의 興盛 시대: 숙종 이후~19세기 중엽
6. 轉換期의 시가문학: 19세기 후기~해방 전
제2부 鄕歌時代의 시가문학
제1장 향가의 갈래
1. 신라시가의 全貌
2. 향가의 갈래
제2장 ‘삼구육명’의 의미
1. 최행귀 ‘譯歌序文’의 분석
2. ‘三句六名’의 해석
3. 작품을 통한 재해석
제3장 사산비명의 구성과 문체
1. 사산비명의 찬술 동기와 과정
2. 사산비명의 구성과 내용
3. 사산비명의 문체 분석
제3부 俗樂歌詞 時代의 시가문학
제1장 고려 속가의 형성 과정과 변모 양상
1. 俗謠와 俗歌
2. 고려 속가의 형성 과정
3. 俗謠의 궁중 俗歌로의 變貌 양상
4. 조선조 악장으로의 변모 양상
제2장 경기체가의 형성과 변모
1. 명칭
2. 형식
3. 작자
4. 형성 및 변천과정
제3장 불교계 경기체가의 불경 수용 양상
1. 불교계 경기체가의 개관
2. 작품에 나타난 정토사상
3. 불경의 수용과 굴절 양상
제4부 士大夫詩歌 全盛時代의 시가문학
제1장 선초 송도시의 성격
1. 명칭의 검토
2. 창작 목적과 창작 규준
3. 작자의 특성
4. 송도의 내용
5. 형식
6. 시대적 분포
7. 시대적 배경
제2장 용비어천가의 구조
1. 내용 구조
2. 형식 구조
3. 철학적 구조
제3장 율곡 이이의 사상과 시가문학
1. 율곡 사상의 계통과 학적 태도
2. 율곡 理氣觀의 특성
3. 율곡의 시가문학
제4장 한거십팔곡과 독락팔곡의 구성
1. 處士文學-조선 전기 문학의 핵심
2. 삶과 문학활동
3. 閒居十八曲의 구성과 작품세계
4. 獨樂八曲과 시가관
제5장 구곡가계 시가의 계보와 전개 양상
1. 구곡가계 시가의 연원과 유형
2. 구곡가계 시가의 계보와 작품
3. 구곡가계 시가의 사적 전개양상
제5부 庶民詩歌 興盛時代의 시가문학
제1장 소유정가의 특징과 가치
1. 소유정가의 작자 문제
2. 소유정가의 특징
3. 소유정가의 가치
제2장 송강의 가집 판본 및 책판
1. 송강가사 판본의 종류와 간행 과정
2. 각 판본의 특징과 판본간의 차이
제3장 조선조 한역시가의 한역기법과 전개양상
1. 시가 한역의 기법과 표현상의 특징
2. 한역시가의 사적전개
제4장 십이가사의 한역양상과 그 의미
1. 12가사의 한역 현황
2. 12가사의 작품별 한역 양상
3. 12가사 한역의 의미
제5장 서민가사의 표현과 미의식의 특성
1. 표현상의 특성
2. 미의식의 특성
제6부 轉換期의 시가문학
제1장 의병가사와 의병한시
1. 의병문학의 형성
2. 의병가사
3. 의병한시
제2장 정용기의 의병활동과 창의가사
1. 정용기의 의병활동과 항일정신
2. 정용기의 창의가사
3. 창의가사 3편의 특징과 의의
제3장 상주 동학교와 동학가사 책판 및 판본
1. 상주 동학교와 동학가사
2. 상주 동학가사 책판 및 판본의 현황과 특징
3. 상주 동학가사 책판 및 판본의 가치와 의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