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도서해양학술총서 31권. 이 책에 수록된 여덟 편의 글은 섬마을에 전승되고 있는 전적과 고문서, 그리고 구술을 토대로 하여 작성된 사례연구다. 이를 통해 섬 지역의 사회상과 섬 주민들의 생활상을 분석하고, 그 안에 담긴 소통과 교류의 문화상을 살폈다.
목차
머리글
제1부 기록과 사회상
제1장 김이수의 「격쟁」과 부세대응 / 김경옥
1. 머리말
2. 흑산도의 인문환경과 『김이수전』의 구성
3. 김이수 「격쟁」의 전개과정
4. 도서지역 부세에 대한 제도민의 대응
5. 맺음말
제2장 김약행의 「유대흑기」와 대흑산도 / 최성환
1. 머리말
2. 김약행의 우이도 유배와 대흑산도 유람
3. 「유대흑기」를 통해 본 조선후기 대흑산도
4. 맺음말
제3장 『청산진호적』과 섬마을의 인구구성 / 김경옥
1. 머리말
2. 청산진의 입지와 주변 도서
3. 『청산진병자호적』의 편제와 내용
4. 청산진 소속 섬 주민들의 생활상
5. 맺음말
제4장 『속음청사』로 본 김윤식의 유배생활과 섬 사회상 / 최성환
1. 머리말
2. 김윤식의 지도 유배생활과 그 특징
3. 20세기 초 도서지역의 사회상 변화
4. 맺음말
제2부 마을문서와 생활공동체
제1장 진도 송산리의 학계와 마을공동체 / 김경옥
1. 머리말
2. 공간과 자료: 송산리 마을문서
3. 송산리 주민들의 입도와 정착
4. 동계의 조직과 변화
5. 학계의 창설과 서당 운영
6. 맺음말
제2장 학림도의 상계와 장례 절차 / 이혜연
1. 머리말
2. 연구 대상 지역의 개관
3. 상계조직의 운영
4. 장례의 운영절차에 따른 상계조직의 기능
5. 상계의 기능적 분화
6. 맺음말
제3장 노력도 어촌계의 공동작업과 공동분배 / 김경옥
1. 머리말
2. 지역개관과 자료소개
3. 대동계의 설립목적과 동계전의 운영
4. 대동계의 사회사적 의의
5. 맺음말
제4장 천일염전과 섬, 이주, 그리고 공동체 / 최성환
1. 머리말
2. 섬 지역 소금생산 내력과 그 중요성
3. 섬사람들의 이주와 외지인의 유입
4. 개발과정을 통해 본 공동체적 특징
5.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