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한반도에 영어가 언제 어떻게 들어왔는지, 한반도에 처음 전해진 영어문장은 무엇이고, 영어를 처음 배운 사람은 누구이고, 첫 영어 통역사는 누구인지. 영어, 영어 사용자, 영어 사용국과 조선, 한반도, 한국 이야기를 담았다. 최초의 미국시민권자 서재필, 최초의 이중국적자 서광범, 최초의 영어연설자 이승만 등, 격랑의 우리 근대사 속 영어 또는 영어사용자들을 조명했다.
목차
저자의 말 도대체 영어가 뭐길래?
Ⅶ. 친미파가 형성되다
1. 미국에 첫 상주외교사절 파견
2. 이완용 ‘좋은 인상’, 이상재 ‘더러운 사람’
3. 영어 한마디 못하던 ‘천치’가 유창해져
4. 금발미녀 사로잡은 ‘상투 댄디’
5. 배씨 부인, 탁월한 영어 실력 과시
Ⅷ. 영어, 권력을 업다
1. 권력의 전면에 나서다
2. 고종, 황태자에게 독선생 붙여 영어교육
3. 영어학교 지원금, 일어의 3배
4. 이승만, 조선인 최초 영어연설을 하다
Ⅸ.영어 습득자들의 근대 개혁운동
1. 영어파 각종 신문 창간을 주도하다
2. 영어파, 독립협회 등 사회운동 이끌어
3. 오늘날 서울의 원형을 그리다
4. 영어 습득자들의 국제무대 진출
5. 지상낙원을 찾아 미국 포와(布)로
Ⅹ. 서양문물의 침투와 망국으로의 질주
1. “젖과 꿀이 흐는 조선”… 넘치는 서양인
2. ‘스프링 침대’ ‘뻐꾸기시계’에 넋잃어
3. 조선을 사로잡은 커피
4. 영어파 이완용의 배신
5. “영어를 쓰니 일인이 우러러 보더라”
ⅩⅠ. 입신의 제 1자격, 영어!
1. 우민화정책으로 영어능력 추락 가속
2. ‘국수주의의 항성’ 신채호도 영어 배워
3. 영어, 산업을 이루다
나가는 글 영어 과잉 속‘벙어리 영어’1백년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