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상상력과 문화콘텐츠
제1장 매체 언어 둘러보기
1. 인문학 감성과 가치 창조
2. 신화인문학과 문화콘텐츠
제2장 상상력과 문화창조산업
1. 오감만족과 감칠(感七)행복: 문화관광
2. 놀이와 게임의 신명: 축제와 이벤트
3. 기술력의 상품화: 애니메이션
4. 디지털 기술의 종합판: 영상산업
5. 공유모방의 소통산업: 문화감성시대의 인디펜던트문화
6. 디지로그 상생콘텐츠: 전통창조산업
제3장 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
1. 생생한 이야기로 전달과 상품의 미학적 효과
2. 문화콘텐츠산업의 발전가능성과 대안 사례
3. 이야기 자원의 스토리텔링
제4장 미래사회의 가치창조와 융합콘텐츠
1. 디지털 기술과 지역문화의 융합
2.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부문의 변화
3. 디지털 기술과 지역설화의 융합
4. 학제간 융합콘텐츠와 스토리텔링마케팅
5. 융합형 킬러콘텐츠 사례
6. 전통문화콘텐츠의 발전방향
제2부 인문문화유산과 스토리텔링
제1장 설문대할망 관련 전승물의 가치와 활용
1. 장소성의 새로운 이해
2. 제주 돌과 신당 관련 설문대할망유산
3. 설문대할망신화의 활용과 관련 전승물 보존 방향
4. 제주돌문화공원의 미래와 신화 가치
제2장 허황옥전승의 실크로드적 가치
1. 허황옥전승의 혁고정신
2. 실크로드 고대교류와 허황옥전승의 가치
3. 김수로신화에서 허황옥신화로 바꿔읽기와 팩션
4. 팩션(faction)의 조정 읽기
제3장 아리랑유산의 세계화와 스토리텔링
1. 아리랑 문화적 행위의 통섭론
2. 아리랑유산의 세계화 문제: 아리랑 스토리텔링의 원형과 가치
3. 아리랑유산의 스토리텔링과 킬러콘텐츠
4. 융복합 아리랑콘텐츠 만들기
제4장 향가-헌화가 스토리텔링
1. 수로부인 캐릭터
2. 「수로부인」조의 수수께끼와 가치
3. 수로부인과 새로운 스토리텔링
4. 수로부인 테마산업과 가치 발견
제5장 원효설화의 문화콘텐츠
1. 신라인물설화의 팩션(faction) 읽기
2. 원효설화의 원형적 가치
3. 원효설화의 문화콘텐츠 방안
4. 원효문화유산의 문화콘텐츠 개발방향
제6장 김대성의 원형과 스토리텔링 창작
1. 두 어머니의 형상화
2. 김대성 전승원형의 정체성: 자료와 인물장소자산의 의의
3. 김대성 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 개발 전략
4. 김대성, 스토리텔링으로 만나기
제3부 문화원형의 가치와 융합콘텐츠
제1장 이사부 문화자원의 스토리텔링과 가치창조
1. 동해영웅 이사부
2. 이사부의 원형 담론과 팩션
3. 이사부의 가치창조와 킬러콘텐츠
4. 팩션 속 캐릭터 이사부의 가치
제2장 문무해중릉의 문화원형과 적용
1. 해중릉의 장소성과 문화원형
2. 신라 이견대와 문무대왕 관련 문화원형
3. 신라 해중릉의 가치와 서사전승물의 활용
4. 통일-호국 영웅 문무대왕 정체성
제3장 수륙재의 원형 전승과 문화콘텐츠 전략화
1. 불교공동체유산의 미덕
2. 수륙재의 원형 전승과 공연문화
3. 수륙재 문화콘텐츠의 전략화 방안
4. 죽음의례의 공공성
제4장 한방 문화유산의 가치창조
1. 한방브랜드의 인문학 인식
2. 제천국제한방바이오엑스포의 지역문화적 기반
3. 지속가능한 문화콘텐츠 창조산업과 제천학
4. 약령시의 재발견과 웰빙스토리텔링
제5장 평창문화자원의 가치 발굴과 동계올림픽
1. 평창동계올림픽과 문화자원의 활용전략
2. 평창 지역문화의 정체성과 가치창조
3. 평창 지역문화의 세계화와 2018동계올림픽
4. 눈 관련 킬러콘텐츠 창조와 성공 동계올림픽
제6장 단오문화유산의 문화콘텐츠
1. 단오제 관련 문화산업
2. 지역문학의 경쟁력과 단오문화의 새롭게 읽기
3. 강릉단오제의 문화자원과 문학콘텐츠 활용
4. 단오학과 단오민속 스토리텔링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