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착도서

  • 위베르씨, 내일의 지구를 말해 주세요
  • 대출인기

    위베르씨, 내일의 지구를 말해 주세요

    발행연도 - 2014 / 위베르 리브스, 크리스토프 오벨 지음 ; 세실 레나 그림 ; 권지현 옮김 / 서해문집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41822
    • ISBN 9788974837044
    • 형태 277 p. 20 cm
    • 한국십진분류 자연과학 > 생명과학 > 생물학
    • 카테고리분류 과학/기술 > 과학의 이해 > 과학사/기술사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프랑스의 천체물리학자 위베르 리브스가 들려주는 생물다양성 이야기. 한 과학자로서뿐 아니라 근심과 사랑이 깊은 할아버지가 미래세대에게 들려주고픈 생명에 관한 이야기가 물음에 답하는 형식으로 풍부하게 소개되어 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추천의 글1 생명과 지구의 이야기의 핵심은 사랑입니다
추천의 글2 미래 세대에게도 미래를!

생물다양성
생물다양성이란 무엇인가요?
인간은 왜 숲을 파괴하는 걸까요?
먹이사슬이란 무엇인가요?
인간과 늑대가 함께 살아갈 수 있을까요?
그 많던 여행비둘기는 모두 어디로 사라졌나요?
꿀벌이 사라지면 인간은 위기에 처할까요?
클로버에게는 뒤영벌이 필요한가요?
칩입종이란 무엇이고, 왜 위험한가요?
생물다양성, 그게 대체 어디에 필요한가요?
생물다양성을 위협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사라지는 생물종을 지키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지구에 살고 있는 생물종의 수는 얼마인가요?
습지가 생물다양성에 꼭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왜 습지에서는 납으로 만든 총알을 사용하지 못하나요?
아주 깊은 바다에도 생명체가 사나요?
수변림이 왜 중요한가요?
왜 농약 사용을 줄여야 하나요?
지구온난화가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생물다양성을 왜 ‘또 다른 충격’이라고 하나요?
새천년 생태계 평가란 무엇인가요?
경제 성장과 생물다양성은 같이 갈 수 없나요?

동물
해로운 동물이 정말 존재하나요?
동식물이 해롭다고 말하는 것이 옳을까요?
동물도 인간처럼 감정이 있을까요?
인간의 지성과 동물의 지성, 그 경계는 어디인가요?
떡갈나무는 어치가 필요한가요?
상어는 위험한 동물인가요?
여우가 인간에게 질병을 전염시킬 수 있나요?
쥐약의 성분인 브로마디올론이란 무엇인가요?
발굽동물 때문에 숲이 위험해져요?
곰도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인가요?
겨울이 되면 새에게 먹이를 주어야 할까요?
습지를 누비는 물떼새는 어떤 새인가요?
웨스턴캐퍼케일리는 어떤 새인가요?
그 많던 제비가 멸종 위기란 게 사실인가요?
왜 새들은 늘 아프리카로 날아가는 걸까요?
새들은 어떻게 목적지로 가는 길을 찾아내나요?
뱀이라는 동물은 왜 있는 거예요?
직시류는 무엇인가요?
비버는 어디에 사나요?
바다표범은 북극에서만 사나요?
바다쇠오리와 펭귄은 다른가요?
남획이 정말 일어나고 있나요?

지구와 우주
인공위성은 왜 필요한가요?
지구 밖에도 생명체가 살고 있나요?
지구에는 어떻게 생명체가 살 수 있나요?
우리의 신호를 받은 외계 문명이 존재할까요?
다른 행성의 생명체를 어떻게 탐지할 수 있나요?
지구온난화가 기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오존층에 구멍이 생겼다는데, 오존층이 뭐죠?
온실효과란 무엇이고 왜 생기나요?
온실효과는 지구에서만 일어나는 현상인가요?
아주 옛날, 지구의 기후는 어땠나요?
태양계의 당구게임이란 무엇인가요?
오늘날 바다는 어떤 상태인가요?
쓰나미는 왜 생기나요?
빛 공해는 어떤 피해를 낳나요?
이 세상에 존재하는 것은 모두 모습만 바꿀 뿐이라는데, 정말인가요?
빅뱅이란 무엇인가요?
빅뱅이 우주의 시작이라면 그 이전에는 무엇이 있었나요?
왜 금성을 목동별이라 부르나요?
우리는 별에서 왔다고들 하는데요. 그렇다면 별이 인류의 조상인가요?
화산과 운석은 왜 필요한가요?
하늘에서 본 지구는 어떤 모습인가요?

과학과 인간 그리고 미래
대대적인 인구 이동이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세계 인구 증가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금광 개발이 열대림을 망치고 있나요?
공간을 공유한다는 건 무슨 뜻인가요?
인간은 자연을 파괴하는 존재인가요?
원자력 발전소의 미래는 어떠할까요?
신재생에너지로 풍력에너지만 있으면 될까요?
핵융합의 미래는 어떠할까요?
바이오연료가 석유를 대체할 수 있나요?
인간의 지성은 독이 든 선물일까요?
과학자들이 환경보호에 나서야 할까요?
환경을 위한 과학의 역할은 무엇일까요?
인류는 인간다워지고 있는 걸까요?
진보란 무엇이며, 우리에게 필요한 진보는 어떤 것인가요?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자연생태 개념수첩 자연생태 개념수첩 2015 / 지음: 노인향 / 자연과생태
야생의 몸, 벌거벗은 인간  : 인간의 몸을 만든 포식자·기생자 동반자 야생의 몸, 벌거벗은 인간 : 인간의 몸을 만든 포식자·기생자 동반자 2012 / 롭 던 지음, 김정은 옮김 / 열린과학
자연은 왜 이런 선택을 했을까 자연은 왜 이런 선택을 했을까 2012 / 요제프 H. 라이히홀프 지음 ; 클라우디아 베른하르트 그림 ; 박병화 옮김 / 이랑
자연은 왜 이런 선택을 했을까 자연은 왜 이런 선택을 했을까 2012 / 요제프 H. 라이히홀프 지음 ; 클라우디아 베른하르트 그림 ; 박병화 옮김 / 이랑
자연을 찾아서  자연을 찾아서 2024 / 지음: 토니 라이스 ; 옮김: 함현주 / 글항아리
생태계 : 인간과 자연의 건강한 공존 생태계 : 인간과 자연의 건강한 공존 2009 / 카를로 론디니니 지음 ; 잔 파올로 팔레스키니 그림 ; 이희정 옮김 / 사계절출판사
생태계 : 인간과 자연의 건강한 공존 생태계 : 인간과 자연의 건강한 공존 2009 / 카를로 론디니니 지음 ; 잔 파올로 팔레스키니 그림 ; 이희정 옮김 / 사계절출판사
위베르씨, 내일의 지구를 말해 주세요 위베르씨, 내일의 지구를 말해 주세요 2014 / 위베르 리브스, 크리스토프 오벨 지음 ; 세실 레나 그림 ; 권지현 옮김 / 서해문집
생태학  : 자연의 경제학 생태학 : 자연의 경제학 2013 / [지은이]: Robert E. Ricklefs ; 옮긴이: 문형태, 민병미, 박상규, 유영한, 이규송, 이은주, 이점숙, 이창석, 이훈복, 조경제, 조도순, 천영진 / 라이프사이언스
생태학  : 자연의 경제학 생태학 : 자연의 경제학 2013 / [지은이]: Robert E. Ricklefs ; 옮긴이: 문형태, 민병미, 박상규, 유영한, 이규송, 이은주, 이점숙, 이창석, 이훈복, 조경제, 조도순, 천영진 / 라이프사이언스
잃어버린 야생을 찾아서 : 어제의 세계와 내일의 세계 잃어버린 야생을 찾아서 : 어제의 세계와 내일의 세계 2016 / 지음: 제임스 매키넌 ; 옮김: 윤미연 / 한길사
생태학  : 개념과 적용 생태학 : 개념과 적용 2008 / [지은이]: Manuel C. Molles Jr. ; 옮긴이: 김재근, 김흥태 / 라이프사이언스
생태학  : 개념과 적용 생태학 : 개념과 적용 2008 / [지은이]: Manuel C. Molles Jr. ; 옮긴이: 김재근, 김흥태 / 라이프사이언스
녹색국가의 탐색 녹색국가의 탐색 2006 / 문순홍 편 / 아르케
생태학의 담론 : 담론의 생태학 생태학의 담론 : 담론의 생태학 2000 / 문순홍 편저 / 솔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예술하는 습관 : 위대한 창조의 순간을 만든 구체적 하루의 기록 예술하는 습관 : 위대한 창조의 순간을 만든 구체적 하루의 기록 2020 / 지음: 메이슨 커리, 옮김: 이미정 / 걷는나무
(세상을 만든)책과 기록 [과3] (세상을 만든)책과 기록 [과3] 2016 / 김향금 글; 홍선주 그림 / 아이세움:
(하리하라의)생물학 카페 (하리하라의)생물학 카페 2002 / 이은희 지음 / 궁리
내가 공부하는 이유 : 일본 메이지대 괴짜 교수의 인생을 바꾸는 평생 공부법 내가 공부하는 이유 : 일본 메이지대 괴짜 교수의 인생을 바꾸는 평생 공부법 2014 / 사이토 다카시 지음 ; 오근영 옮김 / 걷는나무
기억. 1 : 베르나르 베르베르 장편소설 기억. 1 : 베르나르 베르베르 장편소설 2020 / 지음: 베르나르 베르베르 ; 옮김: 전미연 / 열린책들
기억. 2 : 베르나르 베르베르 장편소설 기억. 2 : 베르나르 베르베르 장편소설 2020 / 지음: 베르나르 베르베르 ; 옮김: 전미연 / 열린책들
자연에는 이야기가 있다 : 조홍섭의 생명·환경·공존에 대한 생각 자연에는 이야기가 있다 : 조홍섭의 생명·환경·공존에 대한 생각 2013 / 조홍섭 지음 / 김영사
이명현의 별 헤는 밤 이명현의 별 헤는 밤 2014 / 이명현 지음 / 동아시아
나무를 심은 사람 나무를 심은 사람 2010 / 장 지오노 지음 ; 마이클 매커디 판화 ; 김경온 옮김 / 두레
(지구를 살리는 힘) 녹색 화학 (지구를 살리는 힘) 녹색 화학 2015 / 글: 에밀리 라멜, 카롤린 윌레 ; 그림: 로랑 클링 ; 옮김: 이정주 / 주니어김영사
위대한 전환 : 지구 온도 2도를 지키기 위해 위대한 전환 : 지구 온도 2도를 지키기 위해 2016 / 알렉산드라 하만, 클라우디아 체아슈미트 [공]글 ; 외르크 휠스만 [외]그림 ; 김소정 옮김 / 푸른지식
(어린이를 위한)우리의 선택 : 지구 온난화의 위기를 또 다른 기회로 만드는 힘! (어린이를 위한)우리의 선택 : 지구 온난화의 위기를 또 다른 기회로 만드는 힘! 2010 / 앨 고어 지음 ; 이충호 옮김 / 중앙북스
리얼리티 트랜서핑 : 러시아 물리학자의 시크릿 노트. 1 리얼리티 트랜서핑 : 러시아 물리학자의 시크릿 노트. 1 2011 / 바딤 젤란드 지음 ; 박인수 옮김 / 정신세계사
노벨상과 수리공 : 과학을 뛰어넘은 엔지니어링 이야기 노벨상과 수리공 : 과학을 뛰어넘은 엔지니어링 이야기 2014 / 권오상 지음 / 미래의창
파울로 솔레리와 미래도시 파울로 솔레리와 미래도시 2004 / 파울로 솔레리 지음;이윤하;우영선 [같이]옮김 / 르네상스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꼭 한 번은 읽어야 할) 생물학 이야기: 다윈에서 뇌과학까지 생물학의 모든 것 (꼭 한 번은 읽어야 할) 생물학 이야기: 다윈에서 뇌과학까지 생물학의 모든 것 2018 / 지음: 김웅진 / 행성B이오스
모든 진화는 공진화다 : 경이로운 생명의 나비효과 모든 진화는 공진화다 : 경이로운 생명의 나비효과 2017 / 지음: 박재용 / MID(엠아이디)
하리하라의 생물학 카페 : 신화에서 발견한 36가지 생물학 이야기 하리하라의 생물학 카페 : 신화에서 발견한 36가지 생물학 이야기 2005 / 지음: 이은희 / 궁리
(이런 모습 처음이야!)의외로 유쾌한 생물도감 (이런 모습 처음이야!)의외로 유쾌한 생물도감 2019 / 글.그림: 누마가사 와타리, 옮김: 타카모리 마쓰미 / 주니어김영사
봄이의 동네 관찰일기 봄이의 동네 관찰일기 2018 / 지은이: 박재철 / 길벗어린이
관찰은 나의 힘 : 초등학생을 위한 자연 관찰 탐구서 관찰은 나의 힘 : 초등학생을 위한 자연 관찰 탐구서 2019 / 글·사진: 임권일 / 지성사
숲에서 우주를 보다 숲에서 우주를 보다 2014 / 지음: 데이비드 해스컬, 옮김: 노승영 / 에이도스
숲 읽어주는 남자 : 산책이 즐거워지는 자연 이야기 숲 읽어주는 남자 : 산책이 즐거워지는 자연 이야기 2018 / 글·그림: 황경택 / 황소걸음
천년도서관 숲 : 숲박사가 전하는 자연과 인간 그리고 생명 이야기 천년도서관 숲 : 숲박사가 전하는 자연과 인간 그리고 생명 이야기 2015 / 지음: 김외정 / 메디치미디어
독한 것들  : 슬프도록 아름다운 독의 진화 독한 것들 : 슬프도록 아름다운 독의 진화 2015 / 지은이: 박성웅, 정준호 / MID(엠아이디)
흙 속 세상은 놀라워 흙 속 세상은 놀라워 2017 / 지음: 이완주 ; 그림: 한상언 / 시공주니어
생물과 무생물 사이 생물과 무생물 사이 2011 / 후쿠오카 신이치 지음 ; 김소연 옮김 / 은행나무
불량엄마의 생물학적 잔소리 : 존재 자체로 소중한 너를 위한 생물학 불량엄마의 생물학적 잔소리 : 존재 자체로 소중한 너를 위한 생물학 2016 / 송경화 지음 ; 홍영진 그림 / 궁리
시티 그리너리 : 도시를 걸으며 생태를 발견하다 시티 그리너리 : 도시를 걸으며 생태를 발견하다 2017 / 지음: 최성용 / 동아시아
누가누가 갯벌에서 살까? 누가누가 갯벌에서 살까? 2021 / 글: 문재갑; 그림: 유근택 / 세용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1
20대3
30대0
40대3
50대1
60대3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4
2017년4
2018년1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